서울 한강 걷기를 마치며....
서울 한강 걷기 - 다음지도
한강이 동에서 서로 흐르는 모습에서 삼국시대에는 허리때를 두른 것 같다 하여 帶水라 했다
고구려 광개토왕비에 표기 되어 있는 우리에게 익숙한 서울의 수돗물인 아리수 등으로 불리어 왔는데
한반도 중앙을 흐르는 한강(큰 물)에 대한 삼국시대부터 열망이 큰 만큼 역사적으로 누구도 주인을 가리지 못하다.
조선 시대에 와서야 비로소 서울을 수도로 하면서 큰 물이라는 '한물'의 뜻을 가진 漢江의 시대가 열렸다.
광나루(광진)에서부터의 한강을 따로 불렀다는 서울 한강 경강京江은 어떤 역사들을 남겼는지 답사를 떠나본다..
현재의 눈으로 바라보며 걸었던 서울 한강은 잘 짜여진 각본처럼 적재적소에 시민의 눈에 맞춰 시설을 갖추다 보니
힐링으로 건강도 챙기고 눈요기까지 모두를 만족할 수 있는 서울시민의 대표적인 명소로 자리를 잡은 느낌이였다.
나룻배가 바쁘게 오가며 사람들과 각종 짐이 넘쳐났을 나루에는 대교라는 이름으로 튼튼한 다리가 대신하고
물가에 앉아 그물코를 깁던 어부의 소리대신 제한적으로 허용된 낚시꾼들의 일상이 대신하고
소달구지로 나룻터까지 물짐을 나르던 한강변에는 복잡하게 얽힌 도로따라 쉴세없이 자동차가 다니고 있었다.
그럼에도 조각조각 남아있는 곳에 설치한 표지석을 따라 걷다보니 보이지 않던 서울 한강의 또 다른 모습을 만날 수 있었다.
이 번 답사에서 가장 큰 수학은 아무래도 각 동마다 지금까지도 남아 있고 전례대로 이어지고 있는 부군당의 발견이다.
답사를 기획하게 된 계기가 한강변에 남아 있는 정자의 문화를 조금이라도 느끼고자 시작했던 나를 부끄럽게 해준
답사를 준비하면서 하나씩 나타나는 부군당의 존재는 답사의 또 다른 묘미를 느끼게 해 준 결과물이다.
한강걷기 시작점... 어디를 기준으로 할까 고민하다 단종의 역사적 사실을 담고자 살곶이 다리부터 시작한다
서울에서 여주, 원주, 영월까지 이어지는 단종이 남긴 흔적들을 찾아가는 답사를 준비하고 있는데
서울시내에 남아 있는 단종과 정순왕후의 흔적은 몇 번 답사했으므로 거기에 이어지는 흔적들도 함께 답사할 겸 해서..
단종이 영도교에서 생이별을 하고 영월로 유배를 떠나기 위해 이용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광나루까지의 흔적을 먼저 걷는다..
- 처음 서울 한강 걷기를 하면서 쓴 머릿글에서 -
지금은 모든 역사의 영욕을 뒤로한채 느티나무만이 지키고 있는 화양정華陽亭 터..
백성들은 단종의 회행정回行亭의 꿈을 담아 그렇게 불렀지만 끝내 돌아올 수 없는 긴 강을 건넜으니..
그럼에도 역사는 참으로 기구한 것.. 명성왕후에게는 회행정回行亭의 기쁨을 선사했으니..
화양정터 옛 모습.. 이제 곧 만나게될 말들이 뛰어놀고 있는 모습.. 조금만 내려가면 건국대 일감호一鑑湖이다.
리버힐 오피스텔앞에 있는 광나루에서 한강걷기는 시작되고..
조선시대 말산업의 전초기지였던 도성과 가까운 지리적 위치에 말을 기르기 좋은 조건을 갖춘 중량천이 만나는 한강을 주변으로
전관원箭串院(살곶이)과 다리, 마조단馬祖壇, 일감호一鑑湖(건국대내 호수), 모진동毛陳洞, 자양로紫陽洞등 말지명들이 남아 있고..
응봉산에서 본 중랑천과 한강의 합수점과 서울 숲.. 현재의 서울숲이 중랑천 주변 옛모습이였을 것이다.
임금까지 나와 놀았던 살곶이 다리
모진동毛陳洞 (現 화양동) 모진여인(동네)의 유래... 근처의 수렁이 바로 여기 일감호였다고 한다..
여기 빠져죽은 말들을 여인들이 어떻게든 건져내 그 고기를 나눠먹었다는.. 그래서 사람들은 모진여인이라 불렀다.
중랑천을 넘어 달맞이 공원과 매봉산이 만들어낸 절경 동호東湖에 자리잡아 그래서 이름도 옥수동에 있었다는
인제 등용문 동호 독서당을 중심으로 이이李珥가 지었다는 '동호문답東湖問答'이란 걸작의 탄생 배경이 되었고
국가의 중요한 인재를 길러내기 위하여 건립한 전문 독서연구기구인 독서당 표지석
응봉산 정상의 안내문에서 독서당 옛 사진.. 이 현위치가 맞다면 현재의 매봉아래 동호 독서당이 있었고
바로 아래 한강이 흐르고 있는 것으로 보아 현위치 아래까지 한강이였다는 얘기인데..
먹물 익어가는 소리를 뒤로하고 이름도 햇갈리는 분명 한강북쪽에 있는데 왜 한남동이지? 물음에 답을 주던 한남동 답사..
한강에서 바라본 남산.. 한강과 남산 사이의 동네 한남동..
제3한강교 한남대교 건설로 발전의 수혜자였던 UN빌리지등 외국적 냄새가 나는 동내에
농업을 관장하던 신인 별님에게 제사를 지내던 영성단靈星壇터가 외롭게 자리를 지키고
유엔빌리지와는 분위기가 다른 또 다른 한남동의 모습..
유난히 절집이 많은 것으로 유명한 보광동普光洞의 동명 유래가 된 보광당 부군당을 조금 멀어도 만났던 이유이며
보광국사가 세운 보광사에서 유래를 찾는 보광동普光洞.. 보광사 답사 가는 길.. 다음지도
다시 되돌아 나오는데.. 내 나이 때 되시는 분들 추억의 이름.. 의식적으로 이렇게 설계를 한 듯.. 은하철도에서 보는 한강 풍경..
현재의 눈으로 보면 신기했던 얼음 산업의 중심지였던 동빙고, 서빙고를 지나면서 보안사 서빙고 분실이 오버랩되고
서빙고 나루터를 지나면서
장마가 지면 홍수를 피해 강변으로 옮아 살았던 이촌동(移村洞)에는 국사범등 중죄인을 처형하기 좋은 곳이다보니
한 때 사육신의 처형을 바라보아야만 했던 아픈 역사에 다시 천주교 신자들이 받아들여야 했던 새남터 성지가 있고..
조선 총독부가 있던 용산역을 중심으로의 철도산업의 발달은 신용산시대를 열어 주었는데..
철도 산업의 발달로 신용산 탄생과 함께 헀던 근대양식으로 옮겨가는 과도기적 건물인 용산 철도병원이 증명해주고
새남터성지
철도 산업이 신용산 시대를 열었다면 성심여고를 중심으로 구용산 지역은 용산의 아름다운 경치를 즐기기 위해 찾았는데..
강변의 일출과 낙조가 아름다워 추흥정秋興亭, 심원정心遠亭, 삼호정三湖亭, 함벽정涵碧亭 등 정자를 남겼다.
성심여고 정문 앞 안내문의 사진 한장이 여기가 함벽정이였다는 사실.. 1900년대 용산신학교 모습과 성당까지 보여주고..
후문에는 삼호정이 있고 조금 내려오면 용산 문화원에 심원정이 있었다.
청암동의 강안으로 돌출한 벼랑창(용머리, 부루배기)에 있었던 별영창, 담담정淡淡亭, 풍월정(風月亭)등을 지나면
마포 주물럭의 탄생 배경이 된 마포종점을 중심으로 토정 이지함 선생이 남긴 흔적들이 실학을 실천하셨다는게
토정비결보다 더 가슴한켠을 뭉클하게 했던 집터와 삼개나루에 남겨진 흔적들이 지금까지 잔상으로 남아있고
토정비결만이 아니라.. 토정의 또 다른 일화를 알 수 있는 작품들과 함께 도로변에 설치해 놓았다.
마포나루를 지나면
마포에서 토정을 만났다면 현석동에서는 동면 유래가 된 현석 박세채를 만날 수 있다.. 밤섬 현대 아파트 정문 앞
박세채 집터가 남아 있는 밤섬 전망대인 밤섬공원에 세워진 현대적 정자인 율형정(栗馨亭)
율형정에서 본 밤섬과 마포대교.. 율형정을 주위로 수많은 정자가 있었다는 기록이 현재도 진행형..
임진왜란 당시 명나라 군대가 진을 치고 있어서 유래를 찾는 당인동唐人洞엔 군대대신 에너지를 생산하는 발전소가 있고
절두산성지로 불리는 잠두봉 천주교 성지에는 답사하는 날에도 많은 분들이 참배를 하시고 있었다.
조개우물이 있었다는 합정동蛤井洞에 왠 포은 정몽주?의 뒷모습(양화대교 북단)..
경리단길로 유명한 망원동의 도로가 포은로로 되어 있어 세운 것일까? 금방이라도 포은로로 걸어가실 듯..
미리 답사했던 망원동의 유개가 된 망원정(희우정)과 홍제천 그리고 하늘공원을 지나면 서울 한강 북쪽의 답사는 끝이나고..
홍제천과 한강의 합수점.. 한강 좌측은 서울 한강 마지막인 강서구이고 우측은 난지도로 이어지고..
올림픽 공원에서 본 하늘공원
난지한강공원
자료 : 개화산 전망대 안내판에서.. 난지도의 옛모습.. 한강에 쓰레기 산이 생길줄이야.. 그림 해석은?
노을공원에서 본 고양시 한강의 산군들.. 이제 한강 답사는 서울이 아니고 고양시 한강 답사라고 해야 하나?
앞 대덕산에서 멀리 행주산성을 지나 답사 예정..
한강 남쪽으로 내려와 서울 한강 시적점은 강동구 구역인 강동대교이지만..
서울 둘레길과 서초구 답사에서 만났던 자료로 대신하기로 하고..
고덕산
구리암사대교 옆 대덕산 끝부분 구암서원터
암사동 유적지
역시 송파구도 서울 둘레길에서 미리 답사한 풍납토성과 올림픽공원의 몽촌토성을 지나
몇 번의 답사를 통해 만났던 송파구
석천호수에는 삼전도비와 삼전나루터 표석, 송파나루터 표석이 동호와 서호에 흩어져 있다.
석촌동 고분군
방이동 고분군
몽촌토성
송파구와 강남구의 경계인 탄천 주위에 남겨진 조각들을 찾아 본격적이 서울 한강 걷기를 시작했다.
잠실(蠶室).. 의식주의 중요한 한축이였던 뽕나무는 국가적 절대 사업이였을 것이다.
강북 잠실에서 강남시대를 열었던 강남의 탄생까지.. 한강을 중심으로 과거와 현재의 모습을 볼 수 있는 소중한 답사였다.
부리도(浮里島)의 명칭은 큰비가 내리면 주변이 온통 물에 잠겼지만 이곳만은 물 위에 떠 있었다고 하는데
탄천과 양재천이 만나는 곳이니 큰 비가 내리면 자주 홍수가 났었던 모양이다.. 종합운동장역 2번출구
탄천炭川을 지나면 접하게 되는 삼성.. 이제 송파구에서 강남구로 자연스럽게 넘어가고..
나는 三星그룹의 삼성인줄 알았는데 奉恩寺,舞童島,楮子島가 모여 삼성三成이란다.
지금의 삼성동 한전부지가 무동도 자리이고 저자도는 압구정동 아파트를 건설하면서 마을 자체가 흔적도 없이 사라지고..
왠 도시 한 복판에 사찰?? 이렇게 도시화는 수도산 품속에 있었던 봉은사 사찰을 섬처럼 만들어 버렸다.
오늘의 봉은사를 지켜준 선릉과 정릉
한강변의 물이 너무 맑아 청담淸潭.. 청숫골이라 불리웠던 청담동을 지나면
청담동 134번지인 청숫골 마을터가 있던 곳이다
정치적 중심에 있었던 한명회에 어울리지 않은 이름을 가진 압구정狎鷗亭..
그래서 당시에는 지나가던 이들에게 비웃음의 대상이였다고..
지금은 앞.뒤로 너무 개발이 되어 전혀 느낄 수 없는데 중국에까지 알려진 절경이라는데..
한강 걷기... 가양나들목에 있던 그림... 겸재 정선이 그린 압구정도... 바로 앞에 한강이 흐르고 있다.
삼성동의 하나였던 저자도 섬을 사라지게 했던 압구정동 아파트 건설은 이 사진속의 지형을 바꾸어 놓아 버렸다.
한강만이 아니고 한강변도 이렇게 작지만 숲길이 계속 이어지고 있다.
압구정터는 현대 5차 아파트 74동 뒤편 가운데쯤 있었다.. 눈앞에 두고도 몇번을 물어봤다..
유래 표지석이 보이고 아래에 압구정지 표지석이 있다
압구정을 지나 잠원동에 가면.. 잠원에 어울리는 노력으로 이렇게 새로 심은 뽕나무도 볼 수 있고..
잠원동 신반포에 있는 잠실 뽕나무는 500년이 넘는 풍파를 견디어 주어 산 증인이 되어주니 감사하고..
삼성동에서 사라진 저자도의 아픔은 반포 서래섬에도 남아 있다.
개발과 복원이라는 이름으로 생겼다 사라지기를 반복했던 서래섬..
이수의 어원이 된 반포천을 지나면 충과 효의 고장이라는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과 사모곡 효사정 그리고 효심하면 떠오르는 정조의 용양봉저정에 지금도 그 숨결 그데로 남아 있다.
반포천 합수점과 동작현충원
동작 현충원 정상인 동작대.. 맑은 한강물이 유유히 흐르는 경치 좋은 곳이라 하여 붙여진 명수대가 있던 자리라고..
효사정
효사정은 서울특별시 우수경관 조망명소 답다.. 가야할 한강대교와 노들섬
노들나루공원에서 본 용양봉저정
노들강변의 노래가 전하는 우리나라 철도의 시발지인 노량진역을 중심으로 사육신 공원이 있고
사육신묘
여의도 샛강을 지나다 보면 유일하게 올림픽 대로에 흔적만 남아 있는 귀신바위와 방학곳지 나루터를 만날 수 있다.
올림픽 도로를 만들면서 귀신바위 흔적까지 사라지게 해 귀신바위옆에 학이 놀았다는 느티나무만 외롭게 서있었다.
한강철교를 지나니 샛강이 어서오라하고.. 샛강이 만들어낸 여의도를 연결해 주는 원효대교..
샛강의 여의못. 여의못에서 본 샛강의 유일한 인도 전용다리를 건너 신길역으로 간다..
샛강다리에서 본 여의못... 내가 한강이 아닌 샛강을 걷고자 했던 것은 여의도를 지나면서 차창으로 보였던
이 샛강의 밀림 같은 숲을 보고 싶어서 였는데.. 샛강을 걸을 때는 몰랐는데 여기서 보는 숲이 더 환상적이다
방학호진 나루터가 있었던 곳에 있는 귀신바위와 느티나무는 현재 올림픽 대로가 지나고 있어 접근 불가..
안내판(화살표)이 도로가 생기기전 접근했던 것을 말해주는데.. 그나마 일부라도 남아 있어 감사할 뿐..
당겨본 귀신바위와 느티나무.. 방학호진 나루터가 있을 때에는 여기까지가 샛강으로 느티나무에 학이 놀았다는..
도로 건설로 상단만 남아 있는 귀신바위는 절경에 취한 많은 사람들을 귀신으로 만들었다는무서운 바위인데..
한국 근대사에서 중요한 산업시설과 건축물이 남아있는 영남, 영동 등 마을이름의 유래가 됐던 영등포永登浦
영등포역 뒤 공원에 남아 있는 OB맥주 담금솥 견본, 영등포 시장의 대선제분, 타임스퀘어 뒤에 남겨진 구 경성방직 사무동京城紡織事務棟
영등포 공원 광장에 오비맥주 공장터 시설물이 있다.. 담금 솥이라고.. 맥아와 홉을 끓이는데 사용하는 대형 솥이라고..
서울미래유산으로 지정된 구 영등포 공장 모습.. 공장이 떠난 자리에는 시민의 공원이 되었고.. 영등포 역도 보이고..
영등포 시장 가는 길에는 근대산업유산중의 하나였던 대선제분은 근린공원으로 다시 테어나기 위해 흔적은 사라지고..
또 다른 근대산업 유산 중 하나인 타임스퀘어 뒤에 경성방직 사무동이 지금까지 다행이 남아 있다
해당화 나무가 많아 늦은 봄에 많이 피었다하여 당산동堂山洞.. 당산은행나무가 지금까지 모진 풍파를 견디고 있고
새교회를 지으면서 관리 소흘로 역사속으로 사라졌다는 양평동 둥근잎 느티나무를 볼 수 없어 아쉽고..
일대에 버드나무가 많아 붙여졌다는 양화楊花 한강공원은 계속되고..
선유도를 이어주는 인도교인 듯.. 선유도를 개방했는지 많은 사람들이 건너가고 있다.
북쪽 서울 헌강걷기 마지막 구역인 노을공원과 하늘 공원도 담아 보고..
안양천과 한강의 합수점을 지나면 강서구가 기다리고 있고.. 한강을 따라 올라온 소금을 잠시 보관했던 염창동이 시작된다.
한강 우성 103봉 경비실 옆에 염창터 표석.
도성이 한강 북쪽에 있는데 왜 여기에 보관했다가 어렵게 다시 한강을 건너 소금을 전했을까?
염창동의 주산인 염창산.. 세곡선의 흘린 곡식을 줍고자 모여살았던 유래가 담긴 증미산(拯米山)이라 부르기도..
소금창고를 지나니 약초 향내가 진동하는 허준의 흔적을 만날 시간... 가양동..
허준 근린공원의 광주바위.. 여기까지가 강이였는데 올림픽 도로 건설로 육지가 된 것..
허준 선생
허준 근린공원 옆 작은 구릉인 탑산에도 많은 사연들을 남겼는데..
공암바위(허가바위).. 광주바위와 마찬가지로 여기까지 한강물이 들어왔다고..
탑산을 지나면서 이제 궁산을 주위로 양천 현감으로 재직하시면서 많은 작품을 남기신 겸재 정선의 시간이 시작되고..
양천 향교
망동산
소악루
옛날에는 소악루 바로 앞까지 한강이 흘렀다고 한다. 개화산 전망대에 있던 소악루 소개 안내판
겸재의 그림이 없었다면 지금의 소악루 위치를 알 수 없었을 것이다. 올림픽 대로 건설로 지형이 바뀌어 이마져도..
그럼 이제 서울의 마지막 답사지인 개화산이다..
조선 중종 때 정승 심정이 심은 나무로 나이가 400이 넘었다는데.. 방화동 느티공원
심정묘
개화산 봉수대.. 이 봉수대(火로) 인해 개화산開火山이 되었다는 얘기도 전해지고..
개화산에서 상사마을로 내려오면... 행주나루터 표석을 답사 후 행주 나들목을 통과한다. 개화동 205-42
잠시 행주나들목으로 들어가면 도 경계를 만나면서 서울 한강 걷기는 끝을 알린다.
한반도의 척추인 백두대간과 한북정맥 그리고 한남정맥 그 사이로 한강기맥이 만들어낸 북한강과 남한강이 분기되고
두 강이 부지런히 날라다 준 물을 알뜰살뜰 모아 양수리에서 화합한 뒤 막을 수 없는 거대한 물결이 되었고
삼국시대부터 계속 되어온 한반도 중앙을 흐르는 한강(큰 물)에 대한 열망은 열망이 큰 만큼 역사적으로 누구도 주인을 가리지 못하다가
조선 시대에 와서야 비로소 서울을 수도로 하면서 한강의 시대가 열렸고 그 흐름을 이어받아 한강의 기적을 이루었다.
지금까지 이어온 한강으로 들어오는 정맥과 지맥 그리고 수도권 55산 종주까지 하면서 딱 하나 남은 그림 하나..
바로 서울 한강 걷기였는데 드디어 강서구를 마지막으로 10차에 걸친 서울 한강걷기를 마치게 되었다.
세계가 놀란 한강의 기적을 이룰 수 있었던 것은 한강을 지켜준 선조들의 예지가 있었기에 가능했던 것은 아닐까?
선조들의 예지의 흔적을 찾아 보고 한강의 현재의 모습을 함께 공유하면서 걸었기에 더욱 행복 했음을...
초보산꾼
'강 그리고 바다 > 강.하천 걷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성안 5대 계곡 01 : 옥류동천(인왕산) - 옥구슬 굴러가는 흔적마저 지워지고 있고.. (0) | 2021.02.27 |
---|---|
한강 걷기(강동구.하남시) : 선사 유적과 함께 했던 한강 길.. 시민의 숲으로 다시 태어나고.. (0) | 2021.02.12 |
서울 한강 걷기10 : 강서구 한강 - 허준과 겸재.. 남긴 발자취가 있어 더욱 의미가 있었던 서울한강 마지막 답사.. (0) | 2020.11.01 |
서울 한강 걷기09 : 마포구 - 물화집산의 마포 나루를 중심으로 토정과 현석을 만나다.. (0) | 2020.10.09 |
서울 한강 걷기08 : 영등포구 - 영등포역을 중심으로 남겨진 근대산업의 자취를 담다. (0) | 2020.09.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