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사기/서울시내 답사기

초보산꾼 발길 닿는 곳 : 서울성곽길 01코스 - 북악산 구간 (창의문에서 혜화문)

산중산담 2020. 11. 24. 17:58

 

초보산꾼 발길 닿는 곳 : 서울성곽길 01코스 - 창의문에서 혜화문까지..

 

 

언제 : 경자庚子년(20년) 미틈달 11월 스무하루 흙날

 

누구랑 : 3450 온누리 산악회 산우님들과 함께

 

어딜 : 북소문(창의문) ~ 북악산 ~ 북대문(숙정문) ~ 말바위 안내소 ~ 와룡공원 ~ 동소문(혜화문)

 

 

               더 많은 사진 자료는 blog.daum.net/kmhcshh/5361 에 있습니다

 

 

 

 

서울한양도성 : 지도 종로구 제공

서울한양도성이란..

한양도성은 조선왕조 도읍지인 한성부의 도심의 경계를 표시하고 그 권위를 드러내며 외부의 침입으로부터 방어하기 위해 축조된 성이다.

태조 5년(1396), 백악(북악산) · 낙타(낙산) · 목멱(남산) · 인왕의 내사산(內四山) 능선을 따라 축조한 이후 여러 차례 개축하였다.

평균 높이 약 5~8m, 전체 길이 약 18.6km에 이르는 한양도성은 현존하는 전 세계의 도성 중 가장 오랫동안 도성 기능을 수행하였다.
4대문은 숙정문 · 흥인지문 · 숭례문 · 돈의문이며, 4소문은 창의문 · 혜화문 · 광희문 · 소의문이다.

이 중 돈의문과 소의문은 멸실되었고 또한 도성 밖으로 물길을 잇기 위해 흥인지문 남쪽에 오간수문과 이간수문을 두었다.
자료 : 서울특별시 서울한양도성 seoulcitywall.seoul.go.kr/front/kor/sub01/course_all.do

 

 

 

 

 

서울 성곽걷기 01 코스 : 창의문 ~ 혜화문까지

 

과거 한양도성을 한바퀴돌며 과거 급제를 비는 선비들을 보고 지어진 순성길이란 이름으로 진행하는 서울 성곽걷기..

한양의 진산인 북악산 구간으로 사소문 중 유일하게 조선시대 문루가 그대로 남아 있는 북소문인 창의문을 출발하여

인왕산 구간에 이어 곡장을 지나 북대문인 숙정문을 지나면서 남겨진 소나무의 진실을 만나보고 말바위와 와룡공원을 지나

서울 과학교에서 혜화문까지 조각처럼 남아 있는 성곽의 흔적들을 만나다 보면 한성대 입구역에서 마치게 된다.

 

 

 

 

 

10:36분    창의문을 출발하고..

 

 

1623년 인조반정에 성공하고 도끼 한 자루로 이문을 열었다..창의문안에 인조반정공신들 이름이 세겨져 있다.

창의문을 넘어 부암동에 세검정이 있다. 창의문은 북대문인 숙정문과 남대문인 남문의 사이에 있는 북소문이다

 

창의문 도로 옆에 청계천 발원지 표지석이 있다.

강의 끝을 하구(河口)라 하는데, 이곳에서 가장 긴 물줄기가 그 강의 최장 발원지이다. 옛 문헌에는 청계천의 발원지를 잠시 후 만나게 될 북악산(청와대 뒤산)의 서쪽계곡(옥인동)으로 알려져 왔으나 지난해 땅이름학회 학술발표회에서 북악산의 동쪽계곡(삼청동)의 물줄기가 약 500m 더 길어 최장 발원지가 바뀌어졌다고 한다.    자료 : http://cafe.naver.com/korea103/16

 

 

10:57분    돌고래 쉼터를 지나 힘들게 오르다 보니 북악산 직전 북악마루에 도착하고..

 

 

10:58분   북악산 정상석이 북악산이 아니고 백악산으로 되어 있다.  사진 :  카라 운영자님..

북악산北岳山 - 백악(白岳), 면악(面岳), 공극산(拱極山으로 달리 불린다

국가에서 제사를 지내는 백악산신(白岳山神)을 모시고 진국백(鎭國伯)에 봉하였기에 신사의 이름을 따라 백악(白岳)으로 불렀고 한양천도 후 세운 경복궁을 뒤에서 안고 있는 주산으로 내사산(內四山) 중 북쪽에 위치해 있어 북악北岳山이다.

 

 

숙정문 안내소에서 본 유래

 

가야할 가운데 숙정문에서 말바위 조망터까지 이어지는 성곽길이 한눈에 보이고..

 

 

11:02분    북악산 통제의 원인이 됐던 1.21사태 소나무의 아픈 흔적도 지나고 청운대에 도착하고..

    내 능력으로는 유래를 찾을 수가 없다..  청와대 뒷산이니 기운을 받아 푸른 구름의 정기가 서린 산이 아닐까?

 

알 수 없는 이유로 역시 통제를 당하고 있는 보현봉을 보면서 계속 성곽을 따라간다..

 

보현봉에서 쪽두리봉까지 북한산 줄기따라 평창동이란 마을이 생겨나고.. 북한산 둘레길이 그래서 소중했던 추억..

 

되돌아 본 북악산과 인왕산..  조선 건국에서 스님이였던 무학은 설자리가 없었다.  인왕 주산론은 그렇게 역사속으로 사라지고..

 

북악산과 남산

 

곡장을 지나면서 가야할 성곽길을 담아 보고..

 

촛대바위를 시작으로 소나무 군락은 계속 이어지고..  

 

창의문은 내사산중 북쪽의 큰 대문 역할을 해야 하는데 힘들게 넘어도 다시 북한산인데 몇사람이나 넘었을까?

대문에 어울리는 역할을 하지 못하는 중에 태종 때 풍수학생 최양선이라는 사람이 창의문(彰義門)과 숙정문은 지리학상 경복궁의 양팔과 같은데 길을 내어 버리면 지맥을 손상시킨다고 상소를 올렸다고 한다.  문을 막고 통행을 금지할 것을 청하므로 마침내 창의문과 숙청문을 폐쇄하고 그 주위에 소나무를 심었다고 한다.

그런데 북한산성과 마찬가지로 외성의 하나였던 성남의 남한산성의 소나무는 개인이 출연해서 심은 것이라고...  1만그루나... 그래서 남한산성이나 한양산성에 소나무가 많았던 이유이다..

 

 

 

11:24분   촛대바위

 

북촌을 걸으며 답사했던 삼청각등..  추억이 소환되고..

 

사진상 가운데 영원한 스승.. 법정 스님의 길상사도 보이고..

 

11:31분   그렇게 북대문인 숙정문을 지나고..

 

 

북악산의 또 다른 이름.. 북악산의 상징인 '부아암(負兒岩, 아기업은 바위)를 담아보고..

 

11:41분   말바위 안내소에서 명찰을 반납하고..

 

이제 자유의 몸이 되어 잠시 휴식겸 간식타임..  처음으로 함께 하신 산우님들을 담아 본다.

 

12:05분    말바위 전망대에 들어서고..

 

와룡공원으로 가야 성곽길이다..  삼청공원으로 가다 다시 되돌아 왔다는...

 

말바위..

 

 

말바위 전망대에서 본..  북촌 답사시 함께 했던 풀잎 총무님과의 추억...  삼청각과 뒤로 팔각정을 중심으로 하늘길 

 

길상사 방향..   지금 길상사의 추경이 최고일 듯 한데..

 

12:20분    다시 되돌아 와.. 와룡공원으로..

 

 

12:24분    우측 와룡공원으로..

 

12:27분   헬기장..  이제 좌측 둘레길과 우측 성곽길을 선택해야.. 목적이 성곽길이므로..

 

가는 가을을 아쉬어 하는 풀잎 총무님..

 

12:33분   삼청 순환 산책길 이정표가 있는 도로와 접하고.. 계속 성곽을 따라간다.

 

팔각정 방향 조망..  세검정에서 길상사까지 추억을 기억하고 계실 3450산악회 산우님들 보고싶고.

 

길상사 방향 조망

 

북촌 걷기의 추억을 소환하시는 풀잎 총무님... 감솨..

 

성북동 비둘기와 한용운 집터 등... 많은 추억을 주었던 성북동 답사지..

 

자료 :  초보산꾼    김광섭 시인의 '성북동 비둘기'의 배경이 되었던 '비둘기 쉼터'

 

 

 

12:38분   마지막 달동네.. 복정 마을과 헤어저야 할 시간... 성관 안쪽으로 들어간다.

 

 

성곽 안으로 들어오면 정자가 있고.. 답사시 이 정자에서 간식 후 복정마을로 갔다는..

 

총무님과 함께 가을은 익어가고..

 

이제 원 모습에 가까운 성곽길은 끝이나고..

 

12:49분 ~ 14:20분    중식 및 뒤풀이까지 끝내고..

 

 

14:24분  이제 성곽길 조각을 찾아 다시 경신 고등학교 담벽을 따라 혜화문으로 답사는 시작되고..

 

성북교회도 지나고..

 

 

14:36분   그런데 혜성교회에 있는 성곽이 예전에는 가려져 있었는데 지금은 소공원처럼 가꾸어  있어

   굳이 교회 앞 마당까지 올라가서 답사했던 기억이 이젠 추억이 되어 버렸다.

 

자료 :  초보산꾼..   원 안의 담장이 사라지면서 이렇게 숨어 있던 성곽의 원형이 나타난 것이다.

 

두산 빌라의 흔적도 지나고..

 

14:40분   서울시장 공관자리를 지나면 마지막 답사지인 혜화문이 보이고..

 

되돌아 본 옛성벽의 흔적이 그대로 남아 있는 옛서울시장 공관 자리

옛 서울시장공관

1941년 일본인 다나카사부로가 처음 지어 살았다고 하는데 2층 목조건물로 소박한 모습의 오래된 거축물이라고 한다.

계속 개인 주택을 이용되다가 1959년부터 20년간 대법원장공관으로 사용했으며, 1981년부터 작년까지 33년 동안 서울시장의 공관이었다.

근대건물로도 가치가 있는 이 건물은 처음 박영수 시장이 사용했고 마지막으로 이젠 고인이 되신 박원순 시장이 살았다.

 

 


혜화문을 끝으로 답사를 마치고..

혜화문(惠化門) 일명 동소문(東小門)

낙산과 북악산 사이의 동소문으로 조선왕조 실록 태조대 기록에는 홍화문(弘化門)이라 했다가 1483년(성종 4) 새로 창건한 창경궁의 동문을 홍화(弘化)라고 정함에 따라 혼동을 피하기 위해 1511년(중종 6) 혜화로 고쳤다고 한다.  1928년 일제강점기 혜화동과 돈암동 사이의 전차길을 내면서 헐어버렸다가 1992년에 복원했지만 원형은 많이 홰손됐다고 한다.  지금의 종로구 혜화동과 성북구 동소문동의 경계가 되는데 이미 도로가 지나가고 있어 어떨 수 없이 이곳으로 옮긴 것이다

 

 

담 구간 시작해야할 낙산 구간 들머리를 담아보고..

 

한성대 입구역에서 종료한다.

 

 

 

                    초보산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