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의 성산 지리산 자락을 걷다<2015, 여름 걷기 학교>
사단법인 <우리 땅 걷기>에서 개최하는 <2015년 여름 걷기학교>가 지리산 자락인 구례와 하동, 남원과 함양 일대에서 펼쳐집니다.
건강으로써의 걷기만이 아니라 우리 국토를 도보로 답사하며 역사와 문화를 이해하며 사색하고, 명상하는 것이 옛길 걷기의 미덕입니다.
걷기의 열풍 속에서 놓치고 있는 걷기의 철학과 문화를 배우고 익히게 될 여름 걷기 학교는
길을 걸으며 사색하고 그 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배우며 옛 사람들의 걷기 철학을 배우게 될 길 위에서 만나는 인문학으로 전개될 것입니다.
8월의 두 번째 목요일 밤에 떠나 일요일까지 이어지는 2015년 여름 걷기 학교는 지리산의 역사와 지리산의 문화를 배우고 익히는 시간이 될 것입니다.
제일 첫날 구레 오산의 사성암 올라 섬진강과 지리산을 바라다보며 지리산과 섬진강의 역사를 배우고, 하동에서 구례에 이르는 섬진강 길을 걸으며 연곡사와 피아골 일대를 답사할 예정입니다.
두 번째 날은 산청군과 함양군 일대의 문화유산이 즐비한 길을 걸을 예정입니다. 세속을 끊는다는 의미를 지닌 단속사에서 민속마을 남사리로 이어지는 길, 남명 조식이 제자들을 가르쳤던 산천재에서 덕천서원으로 이어지는 길,
구형왕릉과 남계서원을 지나 함양 상림에서 하루의 여정을 푸는 시간을 마련할 것입니다.
세 번째 날은 지리산 둘레길 남원지역과 함양군 마천면 일대의 지리산 둘레길을 걸을 예정입니다.
“『택리지』에 실린 지리산(智異山)의 기록을 보자.
‘지리산智異山은 남해南海 가에 있는데, 이곳은 백두산의 큰 산줄기가 끝난 곳이다. 그런 까닭에 이 산의 다른 명칭을 두류산頭流山이라고 한다. 세상에서는 금강산을 봉래산蓬萊山이라 하고, 지리산은 방장산方丈山이라 하며, 한라산을 영주산瀛洲山이라고 하는데, 이것이 이른바 삼신산三神山이다.〈지리지地理誌〉에는 지리산을 태을성신太乙星神이 사는 곳이며, 여러 신선들이 모이는 곳이라고 하였다. 계곡이 서리어 뒤섞였고 깊고 크다.
지리산은 남해 가에 있는데 이는 백두산의 큰 줄기가 다한 곳이므로 산의 다른 이름이 두류산이다. 세상에서는 금강산을 봉래산, 지리산은 방장산, 한라산을 영주산이라 하는데, 소위 삼신산이다. 『지지(地誌)』에는 지리산을 태을선인(太乙仙人)이 사는 곳이며, 여러 신선들이 모이는 곳이라고 한다. 계곡이 서리어 뒤섞였고, 깊고 크다.’
지리산은 백두산에서 비롯된 백두대간이 끝맺음 되는 산으로 높이는 1915미터, 산의 둘레는 8백여 리에 달한다. 전라북도‧전라남도‧경상남도 등 세 개 도와 남원시‧구례군‧하동군‧산청군‧함양군 등 다섯 개 군에 걸쳐 있는 산으로 총 면적이 438.9평방킬로미터에 이른다. 동북쪽에 있는 주봉인 천왕봉(1915m)을 중심으로 서쪽으로 칠선봉(1586m)‧덕평봉(1522m)‧명선봉(1586m)‧토끼봉(1534m)‧반야봉(1732m)‧노고단(1507m) 등과 동쪽으로 중봉(1875m)‧하봉(1781m)‧싸리봉(1640m) 등의 높은 산들로 이루어진 이곳 지리산은 노고단에서 천왕봉에 이르는 주능선만 해도 42킬로미터쯤 된다. ‘지리’는 원래 산을 뜻하는 ‘두래’에서 유래된 말인데, 두류산‧백두산에서 흘러내려 이루어진 산이라고 설명하는 사람도 있다.
서산대사 휴정은 이곳 지리산을 웅장하나 수려함은 떨어진다고 표현했지만 이중환은 지리산을 전국의 12대 명산 중의 하나로 꼽았다.
풍년과 흉년을 모르는 산 지리산
“흙의 성질이 두텁고 기름지므로 온 산이 모두 사람이 살기에 알맞은 곳이다.
산 속에는 백리나 되는 긴 골짜기가 많은데, 바깥쪽은 좁지만, 안쪽은 넓기 때문에 가끔 사람이 발견하지 못한 곳도 있으므로, 나라에 세금稅金도 바치지 않는다.
땅이 남해에 가까워 기후가 따뜻하므로 산속에는 대나무가 많고, 또 감과 밤이 대단히 많아서 가꾸는 사람이 없어도 저절로 열렸다가 저절로 떨어진다.
높은 산봉우리 위에 기장이나 조를 뿌려 두어도 무성하게 자라지 않는 곳이 없다. 평지의 밭에도 모두 심을 수 있으므로 산 속에는 촌사람과 섞여서 살아간다.
스님이나 속인들이 대나무를 꺾고, 감과 밤을 주워서 살기 때문에 수고하지 않아도 생리生利가 족하다.
농부와 공인들 역시 열심히 노력하지 않아도 모두 충족하게 살아간다. 이런 까닭으로 이 산에 사는 백성들은 풍년과 흉년을 모르고 지내므로 부산富山이라고 부른다..’
이중환의 <택리지>에 실린 글이다. 이중환의 말처럼 지리산은 수많은 사람이 살 수 있는 한국의 대표적인 육산이다. 그래서 조용헌 선생은 골산(骨山)과 육산(肉山)을 빗대어 ‘사는 것이 외롭다고 느낄 때는 지리산의 품에 안기고, 기운이 빠져 몸이 쳐질 때는 설악산의 바위 맛을 보아야 한다.’고 말했다.
남원의 동쪽에 자리 잡은 지리산이 『신증동국여지승람』 ‘산천’ 조에는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 ‘지리산은 부의 동쪽 60리에 있다. 산세(山勢)가 높고 웅대하여 수백 리에 웅거하였으니, 여진 백두산의 산맥이 뻗어내려 여기에 이른 것이다. 그리하여 두류(頭流)라고도 부른다. 혹은 백두산의 맥은 바다에 이르러 그치는데 이곳에서 잠시 정류하였다 하여 유(流)자는 유(留)로 쓰는 것이 옳다 한다. 또 지리(地理)라고 이름하고 또 방장(方丈)이라고도 하였으니, 두보(杜甫)의 시 「방장삼한외(方丈三韓外)」의 주(注)와 통감(通監) 집람(輯覽)에서 ‘방장이 대방군의 남쪽에 있다.’한 곳이 이곳이다. 신라는 이것으로 남악(南岳)을 삼아 중사(中祀)에 올렸다. 고려와 본조에서도 모두 이에 따랐다. 산 둘레에는 십 주(州)가 있는데, 그 북쪽은 함양이요, 동남쪽은 진주(晋州)요, 서쪽에는 남원이 자리 잡고 있다. 그 기이한 봉우리와 깍은 듯한 절벽은 이루 헤아릴 수 없는데, 동쪽은 천왕봉과 서쪽의 반야봉(般若峯)이 가장 높으니 산허리에 혹 구름이 끼고 비가 오며 뇌성과 번개가 요란해도 그 위 산봉우리는 청명하다. 해마다 가을 하늘이 높으면 새매가 북쪽에서 모여드는데 열군(列郡)의 사람들이 다투어 그물을 쳐서 잡는다. 전해오는 이야기에 태을(太乙:북극의 신)이 그 위에 살고 있으니 많은 신선들이 모이는 곳이며, 용상(龍象)이 살고 있는 곳이라고도 한다.’
<신정일의 <우리 산하>에서
'사단법인 우리땅 걷기 > 신정일 대표님 자료 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제 원대리 자작나무 숲과 동아실계곡을 찾아서 (0) | 2015.06.25 |
---|---|
선자령과 대관령 길을 걷는다. (0) | 2015.06.25 |
화순 세량지와 적벽에서 갈재(노령)까지 이어진 맛과 멋 기행 (0) | 2015.06.25 |
민족의 분단선 155마일 휴전선을 따라 걷다. 두번째 - 연천에서 철원까지 (0) | 2015.06.25 |
나라 안에서 가장 오래 된 길 하늘재와 문경새재를 넘는다, (0) | 2015.06.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