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사기 189

초보산꾼 답사 기록 : 용산역사박물관 - 사진 답사기

초보산꾼 답사 기록 : 용산역사박물관 - 22년3월23일 문을 열다 언제 : 임인壬寅년(22년) 잎새달 04월 아흐레 흙날 누구랑 : 3450온누리 산악회 산우님과 함께.. 어딜 : 용산역사박물관 ( 한강대로14길 35-29 ) 용산역사박물관 용산철도병원 본관의 현관 박물관 내부로 들어가면.. 용산 역사 박물관 종합안내도 한양의 길목 용산 조선의 물류는 용산으로 통한다. 한양과 삼남 사이를 오고가는 시작이자 끝 용산 나루터 풍경 용산강.. 노량진에서 마포에 이르는 오늘날 용산 일대를 용산강이라 불렀다고.. 한강 걷기에서 답사했던 '읍청루' 와 '담담정' 해설.. 읍청루 일대 사진 1910년도.. 담담정을 그린 그림.. 담담장략도 효창원 모습.. 일제 강점기 국내 최초의 효창 골프장 애국 선열 묘역으로 거..

초보산꾼 답사기록 : 칠패로(중구) 주위 - 사진 답사기 (작성중)

초보산꾼 답사 기록 : 서소문 성지(중구) 주위 - 사진 답사기 언제 : 임인壬寅년(22년) 6월 06일 월요일(현충일) 누구랑 : 초보산꾼 어딜 : 칠패로 주위 칠패로 주위 답사기 조선 시대 한양에는 경복궁을 중심으로 동서남북을 잇는 성곽을 쌓아 사대문四大門과 사소문四小門이란 작은 문을 더 두었는데 이 중 소의문은 숭례문과 돈의문 사이에 있어 마포나 서강을 통해 바닷길로 나가는 길목이었다. 18세기 전반에는 한양의 큰 상업 중심지였던 이곳을 칠패七牌라 불렀고, 당시에는 약초가 많아 ‘약초고개’란 뜻의 약현藥峴으로도 불렀다. 아이러니하게도 이곳은 가장 역동적인 삶의 현장인 동시에 ‘죽음’의 장소이기도 했다. 도성 안 백성들이 죽으면 시신을 서쪽으로 운구할 때 이용한 문이었고, 사람이 많은 서소문 밖 저잣..

초보산꾼 답사 기록 : 서울역 - 서울역 주위 사진 답사기

초보산꾼 답사 기록 : 서울역 - 서울역 주위 사진 답사기 언제 : 답사 자료모음 누구랑 : 초보산꾼 어딜 : 서울역 주위 서울역에서 본 세브란스 병원 세브란스병원 터는 중구 통일로 10(남대문로5가 84-11) 미국 클리블랜드의 실업가 세브란스(Louis Henry Severance)의 후원으로 설립된 세브란스병원이 있던 곳이다. 현재 이곳에는 연세재단 세브란스빌딩이 자리하고 ..당시 병원 구내에 있던 이갑성선생님의 사택이 1919년 3.1운동을 위해 학생대표와 기독교 계열의 지도자들이 모여 거사를 논의했던 곳이다.​ 또 3.1운동을 세계에 알린 미국 AP통신기자인 앨버트 테일러기자의 부인이 세브란스병원에서 아들을 낳았는데 일제의 수색을 피하기 위해 탯줄을 싸 놓았던 곳에 3.1운동 선언서를 감췄다가 ..

초보산꾼 답사 기록 : 용산역 - 용산역 주위 사진 답사기.. (자료)

남산주위걷기 11 : 용산역 주위. 왜고개까지 사진 답사기 언제 : 임인壬寅년(22년) 잎새달 04월 아흐레 흙날 누구랑 : 초보산꾼 어딜 : 용산역 주위 용산역을 중심으로 답사 기록.. 시계 반대방향으로 다음지도 용산역 정면에서 보면 좌측에 강제 징용자상이 있다. 평화의 소녀상을 만드신 부부의 작품이라고 하죠? 징용갈 때 여기서 출발했다고 해서 여기에 세운 것이라고 한다. 다리의 족쇄가 맘을 아프게 한다. 그래도 어깨에 앉아있는 새 한마라기가 희망을 얘기했을 터인데.. 철도회관 건물 입구로 들어가면 바로 좌측에.. 연복사탑 중창비.. 읽어보니 일본으로 가져갔으면 큰일날뻔 했네요.. 개성에 있다는 현존한다는 범종은 언제보나? 모 거시기께서 선제타격한다고 나불대고 있는데 통일은 커녕 화해분위기마져 사라지는..

초보산꾼 답사 기록 : 전류리 포구. 여흥민씨충절유적. 봉성산 사진 답사기..

초보산꾼 답사기록 : 전류리포구.봉성산(김포시 하성면) 사진 답사기 언제 : 임인壬寅년(22년) 잎새달 04월 이틀 흙날 누구랑 : 초보산꾼 어딜 : 운봉박씨 저헌재 하성면 가금리 산43-1 버스 정류장 역할을 하고 있는 전류리 포구 앞 도로.. 전류리 포구에서 본 심학산 전류리 포구로 내려가면.. 전류리 포구로 내려가면.. 안내문들이 있고.. 전류리 포구 우측에 있는 김포시 향토 유적인 여흥민씨 충절유적을 답사.. 홍살문을 들어서면 유적지가 보이고.. 표충사와 정성지문은 17세기 중반 이후 건립된 것으로 보이는 김포의 대표 사족(士族) 여흥민씨 일가의 유적이다. 사당은 기둥 및 석재 등의 건축 부재에서 조선시대의 것들이 확인된다. 사당 내 중수기(1926년) 내용에 따르면 고려말 민유(閔愉, ?~?) ..

초보산꾼 답사기록 : 운봉박씨 저헌재 (박신묘역. 김포시 하성면) : 사진 답사기

초보산꾼 답사기록 : 운봉박씨 저헌재 (박신묘역) : 하성면 가금리 산43-1 언제 : 임인壬寅년(22년) 잎새달 04월 이틀 흙날 누구랑 : 초보산꾼 어딜 : 운봉박씨 저헌재 하성면 가금리 산43-1 박신묘역 옆 도로에 있는 위리를 알려주는 저헌재 표시목 저헌재와 향나무 박신묘역과 향나무 향나무; 여말 선초의 문인, 박신이 직접 심고 심신을 수양했다고하여 "학목"으로 불렸다는 향나무. 애기봉 아래에는 박신 묘역이 있다. 박신 선생은 고려말 조선초 사람으로 영의정까지 지낸 조선건국 원종공신이다. 세종 때 지금의 김포인 통진에 13년 동안 유배되었고 지금의 강화대교 인근에 성동나루(석축로)를 만들었다고 한다. 통진과 강화 갑곶진 사이를 왕래하는 사람들이 배를 타고 내리기 위해 물에 빠져야 하는 것을 보고 ..

초보산꾼 답사기록 : 한재당寒齋堂(김포 하성면) 사진 답사기

초보산꾼 답사기록 : 한재당寒齋堂(김포 하성면) : 하성면 가금리 223-1 언제 : 임인壬寅년(22년) 잎새달 04월 이틀 흙날 누구랑 : 초보산꾼 어딜 : 한재당 하성면 가금리 223-1 가금3리 경로당 앞에 한재당이 있다.. 조선 중기 문신으로 무오사화 때 28세의 나이로 화를 입은 이목(李穆) 선생의 위패를 봉인한 사당인 한재당 홍살문과 외삼문.. 외삼문을 들어서면.. 내삼문을 지나 사당 뒷문으로 해서 묘지로.. 우측으로는 이목 선생의 저서로 우리나라 최초의 차(茶)관련 문장인 '다부(茶賻)'에 관련된 다부비등이 있고... 내삼문을 들어서면 사당이 있고.. 묘역으로 오르며.. 초보산꾼

초보산꾼 답사기록 : 동촌(이화동. 효제동. 연지동) 연계 사진 답사기

초보산꾼 답사기록 : 동촌 (이화동. 효제동. 연지동) 연계 사진 답사기 언제 : 신축辛丑년(21년) 푸른달 05월 닷새 물날(어린이날) 누구랑 : 초보산꾼 어딜 : 낙산 중앙광장 ~ 이화장 ~ 석양루 ~ 연지공원 ~ 선교거리 ~ 효제초교 ~ 종로5가역 아래동촌 답사기.. 다음지도 성곽길은 자주 했으므로 여기서 우측 둘레길로.. 중앙광장이 우측으로 보이고.. 오늘 걸었던 흥덕동천의 물공급원인 낙산 반대편 사진상 가운데 북악산 우측 아래로 응봉이 조망되고.. 답사에서 보았듯.. 응봉에서 흥덕사로 해서 흥덕동천이 발원했고 응봉아래 성균관에서 반궁천이 발원하여 혜화역 4번 출구 부근에서 흥덕동천에 합류했을 것이다. 북악산에서 낙산으로 이어지는 성곽능선과 그 뒤로 멀리 보현봉.. 동숭동 어린이 집을 지나면.. ..

초보산꾼 답사 기록.. '우정총국. 조계사. 수성공원' 주위 사진 답사기

서울시내걷기 : '우정총국. 조계사. 수성공원' 주위 사진 답사기 언제 : 답사기 자료 모으기 누구랑 : 초보산꾼 어딜 : '우정총국. 조계사. 수성공원' 주위 우정총국. 조계사. 수성공원 주위 체신기념관 옆이 심훈의 상록수를 출판했다는 한성도서주식회사터.. 서울 종로구 견지동 32-3 현 건물은 한국 최초의 소아과의사이신 구영숙 소아과였다고.. 우정총국기념관 앞에는 우정국 안내문과 전의감터, 도화서터 표지석이 있고.. 견지동 39-7 개화파가 일으킨 갑신정변의 무대가 된 곳인 우정총국이 있던 곳.. 서울 우정총국 뒤 공원에서.. 2022년 광복절 다시 촬영.. 조계사 입구에는 민영환 집터 표석이 있다.. 마지막으로 우정총국 뒤에 있는 민영환 선생 동상을 뵙고.. 우정국로에서 인사동 홍보관으로.. 주차장..

초보산꾼 답사 기록.. 종각역. 보신각 주위 사진 답사기

초보산꾼 답사기록 : 종각역. 보신각 주위 - 종각역. 보신각 언제 : 자료 모음 누구랑 : 초보산꾼 어딜 : 종각역. 보신각 주위 종각역 주위 청진동 우물 유적.. 타워8 빌딩 동쪽에 위치 종각역 1번 출구.. 운종가 안내판.. 피맛골 안내판도 보이고... 1번 출구 제일은행 앞에는 의금부 안내판과 표석이 놓여있다.. 1번 출구 엘리베이터 앞에는 시전행랑 안내판이 있다. 종각역 1번출구와 2번 출구 사이에 충무공 이순신 출발지.. 종각역 6번 출구로 길을 건너면 서린동이 시작된다. 서린동으로 넘어와.. 종각역 6번 출구에.. 전옥서터.. 전옥서의 특성상 신앙증거 터 표지석도 옆에 놓여 있다. 종각역 6번출구와 5벌 출구 사이에는 전봉준상이 있고.. 순국123주년 18년4월24일 녹두장군 전봉준의 동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