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사기 189

초보산꾼 답사기록 : 해방촌 - 한신옹기에서 게이트20번까지 사진 답사기

초보산꾼 답사기록 : 해방촌 - 한신옹기에서 둔지산미군기지 게이트20번까지 사진 답사기 언제 : 임인壬寅년(22년) 물오름달 03월 하루 불날(3.1절. 공휴일) 누구랑 : 3450온누리 산악회 산우님과 함께.. 어딜 : 서빙고역 ~ 부군당공원 ~ 해방촌 ~ 해방촌오거리 ~ 이태원터 ~ 후암삼거리 ~ 숭례문 ** 본 답사기는 전문가가 아니기 때문에 참조만 하세요.. ***** 남산걷기 09번째 중에서.. : 서빙고역 ~ 해방촌 ~ 숭례문까지.. 다음지도 해방촌(解放村)은 용산2가동의 대부분과 용산1가동의 일부가 포함되는 지역으로 용산고등학교의 동쪽, 남산타워의 남쪽, 곧 남산 밑의 언덕에 형성된 마을이다. 1945년 광복과 함께 해외에서 돌아온 사람들과 또 북쪽에서 월남한 사람들, 그리고 한국전쟁으로 인..

초보산꾼 답사기록(김포시 01) : 김포본동 중심 - 모담산에서 장릉까지 걷다.

초보산꾼 답사기록(김포시 01) : 김포본동을 중심으로.. 언제 : 임인壬寅년(22년) 시샘달 02월 열아흐래 흙날 누구랑 : 초보산꾼 어딜 : 운양역 ~ 모담산 ~ 걸포중앙공원 ~ 구김포성당 ~ 김포향교 ~ 장릉 ** 김포시 답사기는 '김포마루 이야기, 김포시청 블로그 : 네이버 블로그 (naver.com)'를 참조하여 걸었습니다.. 김포시 걷기 01 : 운양역(모담산) ~ 장릉까지 다음지도 김포의 옛 이름 검포(黔浦)의 ‘黔’은 단군왕검(檀君王儉)의 ‘儉’과 같은 의미의 고대어로, 제정일치(祭政一致) 사회에서 신군(神君)이 제사를 지내는 신성한 땅이라는 의미를 지닌다. 현재 김포 지역 내에 전해 오는 많은 지석묘들은 김포가 고대로부터 강력한 세력을 형성했던 포구마을이었음을 시사한다. 김포시 유래.. ..

초보산꾼 답사기록(김포시) : 구김포성당에서 김포향교까지 사진 답사기..

초보산꾼 답사기록(김포시 북변동) : '북변 백년의 거리' 사진 답사기.. 김포시 걷기01 연계 언제 : 임인壬寅년(22년) 시샘달 02월 열아흐래 흙날 누구랑 : 초보산꾼 어딜 : 운양역 ~ 모담산 ~ 구김포성당 ~ 북변 백년의 거리 ~ 김포향교 ~ 정릉 김포시 답사 01편 답사기는 https://blog.daum.net/kmhcshh/5656 초보산꾼 김포시 걷기 : 구김포성당 ~ 백년의 거리 ~ 김포향교 다음지도 북변동北邊洞 김포시 북변동의 명칭은 예전에 김포군청 북쪽에 있는 마을이라는 데서 유래하였다. 우리말로는 북녘말로 부른다. 김포경찰서·김포시립도서관·김포우체국 등 공공기관이 들어서 있고, 김포초등학교·김포서초등학교·금파초등학교, 김포중학교·금파중학교, 김포제일고등학교 등 교육기관이 밀집해 있..

초보산꾼 답사기록(김포시 운양동) : 모담산.샘재공원 사진 답사기..

초보산꾼 답사기록(김포시. 운양동) : 모담산.샘재공원 사진 답사기.. 언제 : 임인壬寅년(22년) 시샘달 02월 열아흐래 흙날 누구랑 : 초보산꾼 어딜 : 운양역 ~ 모담산 ~ 걸포중앙공원 ~ 구김포성당 ~ 김포향교 ~ 장릉 김포시 답사 01편 답사기는 https://blog.daum.net/kmhcshh/5656 초보산꾼 김포시 걷기 : 폭포마당 ~ 모담산 정상 ~ 모담약수 ~ 심응사당 ~ 샘재공원 ~ 한옥마을 운양동雲陽洞 김포읍 운양리였던 시절, 김포읍 어르신들은 운양동 사람들에게 ‘좋은 산의 기운이 있고, 맑은 샘이 많아 사람들이 순하고, 어질고, 착하다’는 말을 자주 했다고 한다. 좋은 산은 모담산을 말하는 것이고, 맑은 물이 흘렀다는 이야기는 ‘샘재’나 ‘청수’ 같은 동네 이름에 고스란히 남아..

초보산꾼 답사기록(김포시) : 김포시청. 장릉 사진 답사기

초보산꾼 답사기록(김포시) : 김포시청. 장릉 사진 답사기 언제 : 임인壬寅년(22년) 시샘달 02월 열아흐래 흙날 누구랑 : 초보산꾼 어딜 : 운양역 ~ 모담산 ~ 구김포성당 ~ 김포향교 ~ 김포시청 ~ 장릉 김포시 답사 01편 답사기는 https://blog.daum.net/kmhcshh/5656 초보산꾼 김포시 걷기 : 장릉 풍무동 666-1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조선왕릉이지만 여기에 묻혀 있는 왕은 살아서는 왕이 되지 못하고 죽어서 왕이 된 분이다. 일명 추존왕이라고 하는데, 인조반정으로 왕위에 오른 인조의 아버지 원종의 왕릉이다(인조의 왕릉도 명칭이 장릉이다). 협소한 주차장과 입구에 비해 부지가 꽤 넓었다. 안에 들어서자마자 넓은 잔디밭이 우리를 반겨준다. 선조의 5번째 아들이자 인조의 아버..

남산주위걷기 08 : 우사단.경리단길 - 용산의 근현대의 모습을 담아보다.

남산주위걷기 08 : 우사단.경리단길 - 한남역에서 삼각지역까지.. 언제 : 임인壬寅년(22년) 해오름달 01월 그믐날 다날 누구랑 : 3450온누리 산악회 산우님과 함께.. 어딜 : 한남동 ~ 한남동 부군당 ~ 우사단길 ~ 경리단길 ~ 전쟁기념관(삼각지역) ~ 남영역 ** 본 답사기는 전문가가 아니기 때문에 참조만 하세요.. ***** 더 많은 사진은 https://blog.daum.net/kmhcshh/5633 하늘에 제사를 지내던 목멱대왕을 모신 사당이 있어 목멱산, 누에의 머리를 닮아 잠두봉 등으로 불리던 한양도성의 남쪽에 위치하여 안산의 역할을 했던 남산 국사당에 조선 건국의 주요 인물들의 위폐를 모시면서 조선의 정신적 역할을 했던 남산에 일제시대 조선 신궁을 세우면서 수난은 시작됐고 해방이 된..

남산주위걷기 07 : 남소문고개 - 남소문동천을 따라 남소문을 넘어 한강까지..

남산주위걷기 07 : 남소문고개 - 청계천 ~ 한강진나루터까지 언제 : 신축辛丑년(21년) 하늘연달 10월 열하루 달날(한글날 대체휴일) 누구랑 : 초보산꾼 어딜 : 동대문역 ~ 이간수문 ~ 장충단공원 ~ 남소문 ~ 북한남동 ~ UN빌리지 ~ 한강진나루터 ** 본 답사기는 전문가가 아니기 때문에 참조만 하세요.. ***** 더 많은 사진은 https://blog.daum.net/kmhcshh/5528 하늘에 제사를 지내던 목멱대왕을 모신 사당이 있어 목멱산, 누에의 머리를 닮아 잠두봉 등으로 불리던 한양도성의 남쪽에 위치하여 안산의 역할을 했던 남산 국사당에 조선 건국의 주요 인물들의 위폐를 모시면서 조선의 정신적 역할을 했던 남산에 일제시대 조선 신궁을 세우면서 수난은 시작됐고 해방이 된 후에도 군사 ..

초보산꾼 답사기록 : 동국대 - (불교계 사립 종합 대학) 사진 답사기

초보산꾼 답사기록 : 동국대 - 사진 답사기 언제 : 신축辛丑년(21년) 하늘연달 10월 나흘 달날(개천절 대체휴일) 누구랑 : 초보산꾼 어딜 : 종로5가역 7번출구 ~ 동호로 ~ 동국대 ~ 창경궁로 ~ 을지로4가역 더 많은 사진은 https://blog.daum.net/kmhcshh/5523 하늘에 제사를 지내던 목멱대왕을 모신 사당이 있어 목멱산, 누에의 머리를 닮아 잠두봉 등으로 불리던 한양도성의 남쪽에 위치하여 안산의 역할을 했던 남산 국사당에 조선 건국의 주요 인물들의 위폐를 모시면서 조선의 정신적 역할을 했던 남산에 일제시대 조선 신궁을 세우면서 수난은 시작됐고 해방이 된 후에도 군사 독재정권은 그들의 정권의 안위를 위한 장소로 이용하면서 지금의 국치의 길과 인권의 길로 다시 탄생했고 그런의미..

남산주위걷기 06 : 동국대 중심으로 - 쌍이문동천의 흔적과 함께 동호로를 걷다.

남산주위걷기 06 : 동국대 중심으로 - 동호로, 창경궁로 사진 답사기 언제 : 신축辛丑년(21년) 한르연달 10월 나흘 달날(개천절 대체휴일) 누구랑 : 초보산꾼 어딜 : 종로5가역 7번출구 ~ 동호로 ~ 동국대 ~ 창경궁로 ~ 을지로4가역 ** 본 답사기는 전문가가 아니기 때문에 참조만 하세요.. ***** 더 많은 사진은 https://blog.daum.net/kmhcshh/5523 하늘에 제사를 지내던 목멱대왕을 모신 사당이 있어 목멱산, 누에의 머리를 닮아 잠두봉 등으로 불리던 한양도성의 남쪽에 위치하여 안산의 역할을 했던 남산 국사당에 조선 건국의 주요 인물들의 위폐를 모시면서 조선의 정신적 역할을 했던 남산에 일제시대 조선 신궁을 세우면서 수난은 시작됐고 해방이 된 후에도 군사 독재정권은 그..

초보산꾼 답사기록 : 오리선생 흔적을 찾아서.. (광명시 ) 사진 답사기

초보산꾼 답사기록 : 오리 이원익 선생 흔적.. (광명시 소하동 ) 언제 : 신축辛丑년(21년) 하늘연달 10월 이틀 흙날 누구랑 : 초보산꾼 어딜 : 오리서원, 선생 묘 및 신도비, 충현역사공원, 충현박물관 오리선생 흔적 아침 성채산 산행을 마치고.. 덕안 근린공원 답사 후.. 오리서원으로.. 오리서원 반대편인 기형도 문학관 방향 길 건너 보이는 오리서원 답사로 이어지고.. 오리서원 입구.. 오리서원에 올랐다가 다시 내려와 우측에 보이는 신도비 답사를 이어간다. 오리서원 다시 내려와 이원익 묘와 신도비 방향.. 그러나 오리 이원익묘 방향은 통제 중이고.. 이 곳에서는 신도비만 보이고.. 묘는 보이지 않고.. 전면 통제중이다.. 다시 내려와... 충현 역사 공원으로 가는 중.. 중간에 신도비로 직접 들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