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사기 189

초보산꾼 답사기록 : 경복궁과 창덕궁 사이.. 북촌의 흔적들을 담아보다..

초보산꾼 답사기록 : 경복궁과 창덕궁 사이.. 사진 답사기 언제 : 신축辛丑년(21년) 잎새달 04월 스무나흘 흙날 누구랑 : 초보산꾼 어딜 : 삼청공원 ~ 북촌로 ~ 창덕궁길 ~ 북촌문화센터 ~ 감고당길 ~ 우정국로 ~ 청계천 더 많은 사진은 blog.daum.net/kmhcshh/5416 ** 이 기록은 도성안 5대계곡 중 삼청동천 답사와 함께 했습니다.. ******* 다음지도에서.. 삼청공원에서 시작하여 청계천까지.. 삼청공원 ~ 고하길 다음지도 삼청동천 답사에 이어 계속 서울시내 답사를 이어간다.. 삼청공원에서 출발하여 청계천까지.. 삼청공원 입구에서 감사원으로.. 감사원 정문 지나 바로 삼거리에 취운정 표석이 있고.. 서유견문이 집필되고 독립운동가들의 회합장소로 이용됐다는.. 바로 옆에 있는 ..

초보산꾼 여행 이야기 - 덕수궁 돌담길에서 인왕산 북악산 지나 안국역까지..

초보산꾼 여행 이야기 - 덕수궁 돌담길에서 인왕산까지.. 언제 : 신축辛丑년(21년) 시샘달 02월 열이틀 쇠날(설날) 누구랑 : 초보산꾼 부부 동행 어딜 : 시청역 2번 출구 ~ 덕수궁 돌담길 ~ 고종의 길 ~ 돈의문터 ~ 단군성전 ~ 인왕산 ~ 북악산 ~ 북촌 한옥마을 사진 산행기 blog.daum.net/kmhcshh/5397 시청역에서 창의문까지.. 그리고 날머리 안국역 부근 답사 시청역 2번 출구로 나와 덕수궁 돌담길을 걷기 시작하고.. 2번 출구 방향 돌담길.. 정문 매표소를 지나면서 우측으로 계속 이어지는 덕수궁 돌담길.. 서소문 청사 앞 안내판을 살펴보고.. 서소문 청사 끝 부근에 김장생. 김집 선생 생가터가 자리하고.. 운교 안내판도 지나고.. 이 곳에 아래 사진과 같은 육교가 설치 되어..

초보산꾼 발길 닿는 곳 : 서울숲.남산길 - 남산에서 서울숲까지..

초보산꾼 발길 닿는 곳 : 서울숲.남산길 - 남산에서 서울숲까지.. 언제 : 신축辛丑년(21년) 해오름달 01월 하루 흙날 누구랑 : 초보산꾼 부부 어딜 : 동대역 ~ 장춘단공원 ~ 남산 ~ 성곽길 ~ 매봉산 ~ 응봉 ~ 응봉역 더 많은 사진 자료는 blog.daum.net/kmhcshh/5379 에 있습니다 서울숲-남산길 13:13분 동대역 6번 출구로 나오면 바로 장춘단 공원이 반겨주고.. 먼저 장춘단비와 수표교가 반기고.. 안내도에 사명대사 동상이라 한다.. 우측으로 보인다 안내도에 다담에뜰이란 시설이 보이면.. 우측으로 한국 유림 독립운동 파리장서비가 안내문과 함께 서있다. 휴게소 좌측으로 벽천 시설도 있고.. 벽천시설 좌측 길을 따라가면 국립극장 옆으로 가는 길이라고.. 수표교 방향으로 개천을 ..

답사기 2021.01.01

초보산꾼 발길 닿는 곳 : 서울성곽길 - 숭례문에서 혜화문 지나 서울 과학고까지

초보산꾼 발길 닿는 곳 : 서울성곽길 - 숭례문에서 혜화문 지나 서울 과학고까지 언제 : 경자庚子년(20년) 매듭달 12월 닷새 흙날 누구랑 : 3450온누리 산악회 산우님들과 함께.. 어딜 : 숭례문 ~ 남산 ~ 남소문 ~ 광희문 ~ 동대문 ~ 낙산 ~ 혜화문(동소문) ~ 서울 과학교 더 많은 사진 자료는 blog.daum.net/kmhcshh/5368 에 있습니다 서울한양도성 : 지도 종로구 제공 서울한양도성이란.. 한양도성은 조선왕조 도읍지인 한성부의 도심의 경계를 표시하고 그 권위를 드러내며 외부의 침입으로부터 방어하기 위해 축조된 성이다. 태조 5년(1396), 백악(북악산) · 낙타(낙산) · 목멱(남산) · 인왕의 내사산(內四山) 능선을 따라 축조한 이후 여러 차례 개축하였다. 평균 높이 약..

초보산꾼 발길 닿는 곳 : 서울성곽길 03코스 - 남산구간 (광희문에서 숭례문)

초보산꾼 발길 닿는 곳 : 서울성곽길 03코스 - 광희문에서 숭례문까지.. 언제 : 경자庚子년(20년) 미틈달 11월 스무여드레 흙날 누구랑 : 초보산꾼 어딜 : 광희문 ~ 장충동 주택지역 ~ 장충체육관 ~ 남소문터 ~ 남산 ~ 숭례문 더 많은 사진 자료는 blog.daum.net/kmhcshh/5364 에 있습니다 서울한양도성 : 지도 종로구 제공 서울한양도성이란.. 한양도성은 조선왕조 도읍지인 한성부의 도심의 경계를 표시하고 그 권위를 드러내며 외부의 침입으로부터 방어하기 위해 축조된 성이다. 태조 5년(1396), 백악(북악산) · 낙타(낙산) · 목멱(남산) · 인왕의 내사산(內四山) 능선을 따라 축조한 이후 여러 차례 개축하였다. 평균 높이 약 5~8m, 전체 길이 약 18.6km에 이르는 한양..

초보산꾼 발길 닿는 곳 : 서울성곽길 02코스 - 낙산구간 (혜화문에서 광희문)

초보산꾼 발길 닿는 곳 : 서울성곽길 02코스 - 혜화문에서 광희문까지.. 언제 : 경자庚子년(20년) 미틈달 11월 스무여드레 흙날 누구랑 : 초보산꾼 어딜 : 혜화문(동소문) ~ 장수마을 ~ 낙산 ~ 흥인지문(동대문) ~ 청계천 ~ 광희문 더 많은 사진 자료는 blog.daum.net/kmhcshh/5364 에 있습니다 서울한양도성 : 지도 종로구 제공 서울한양도성이란.. 한양도성은 조선왕조 도읍지인 한성부의 도심의 경계를 표시하고 그 권위를 드러내며 외부의 침입으로부터 방어하기 위해 축조된 성이다. 태조 5년(1396), 백악(북악산) · 낙타(낙산) · 목멱(남산) · 인왕의 내사산(內四山) 능선을 따라 축조한 이후 여러 차례 개축하였다. 평균 높이 약 5~8m, 전체 길이 약 18.6km에 이르..

초보산꾼 발길 닿는 곳 : 서울성곽길 01코스 - 북악산 구간 (창의문에서 혜화문)

초보산꾼 발길 닿는 곳 : 서울성곽길 01코스 - 창의문에서 혜화문까지.. 언제 : 경자庚子년(20년) 미틈달 11월 스무하루 흙날 누구랑 : 3450 온누리 산악회 산우님들과 함께 어딜 : 북소문(창의문) ~ 북악산 ~ 북대문(숙정문) ~ 말바위 안내소 ~ 와룡공원 ~ 동소문(혜화문) 더 많은 사진 자료는 blog.daum.net/kmhcshh/5361 에 있습니다 서울한양도성 : 지도 종로구 제공 서울한양도성이란.. 한양도성은 조선왕조 도읍지인 한성부의 도심의 경계를 표시하고 그 권위를 드러내며 외부의 침입으로부터 방어하기 위해 축조된 성이다. 태조 5년(1396), 백악(북악산) · 낙타(낙산) · 목멱(남산) · 인왕의 내사산(內四山) 능선을 따라 축조한 이후 여러 차례 개축하였다. 평균 높이 약..

초보산꾼 발길 닿는 곳 : 서울성곽길 04코스 - 인왕산 구간 (숭례문에서 창의문까지)

초보산꾼 발길 닿는 곳 : 서울성곽길 04코스 - 숭례문에서 창의문까지.. 언제 : 경자庚子년(20년) 미틈달 11월 스무하루 흙날 누구랑 : 3450 온누리 산악회 산우님들과 함께 어딜 : 숭례문 ~ 소의문터 ~ 정동길 ~ 서대문(돈의문) ~ 사직터널 ~ 인왕산 ~ 북소문(창의문) 더 많은 사진 자료는 blog.daum.net/kmhcshh/5361 에 있습니다 서울한양도성 : 지도 종로구 제공 서울한양도성이란.. 한양도성은 조선왕조 도읍지인 한성부의 도심의 경계를 표시하고 그 권위를 드러내며 외부의 침입으로부터 방어하기 위해 축조된 성이다. 태조 5년(1396), 백악(북악산) · 낙타(낙산) · 목멱(남산) · 인왕의 내사산(內四山) 능선을 따라 축조한 이후 여러 차례 개축하였다. 평균 높이 약 5..

초보산꾼 발길 닿는 곳 : 북한산성 - 산성에 남겨진 지명들을 생각하며 걷다.

초보산꾼 발길 닿는 곳 : 북한산성 - 12성문 걷기.. 언제 : 경자庚子년(20년) 열매달 09월 열아흐레 흙날 누구랑 : 3450 온누리 산악회 산우님들과 함께 어딜 : 산성 매표소 ~ 원효능선 ~ 주능선 ~ 의상능선 ~ 산성 매표소 ( 남장대지로 탈출) 더 많은 사진 자료는 blog.daum.net/kmhcshh/5335 에 있습니다 북한산성은 삼각산의 유래가 된 백운대, 만경대, 인수봉 세봉우리를 기둥삼아 산성주능선으로 길게 벽을 치고 신라시대 쌍벽을 이루는 불교의 큰 스님이신 원효와 의상과의 인연이 남긴 의상능선과 원효능선을 좌.우로 날개를 펴고 주 출입문 중 주통로 역할을 하며 임금의 문으로 이용했던 대서문을 시작으로 6곳의 대문과 사이로 8곳의 암문을 두고 성 내부에 임금이 머무는 행궁을 중..

관악산 둘레길 (과천, 안양 구간) - 서울 둘레길에 비해 부족한 시설.. 준비 부족으로 힘들게 마치다..

관악산 둘레길 (과천, 안양 구간) - 남태령역 ~ 석수역 언제 : 경자庚子년(20년) 견우직녀달 07월 열여드레 (토요일) 누구랑 : 초보산꾼 어딜 : 남태령역 ~ 과천구간 ~ 안양구간 ~ 석수역 관악산 둘레길 2번째 구간을 시작한다. 1번째 사당역에서 마쳤기에 사당에서 출발해야 하지만 사당역에서 남태령역까지 도로를 따르는 구간이라 생략하고 남태령역에서 선바위역까지는 이미 올렸으므로 선바위역부터 시작한다. 관악산 둘레길 과천시, 안양시 구간 남태령역에서 선바위역까지 자료로 대치하고.. 남태령역 2번 출구로 나와 남태령까지 도로를 따라 올라간다 남태령 고개를 넘으면.. 삼남길 제1길 안내판과 이정표.. 한양관문의 역할을 했던 남태령.. 그래서 과천의 텃새가 하늘의 기를 능가했다고.. 도로와 헤어져 우면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