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행기 703

초보산꾼 사진 답사기 - 주월산(보성군) : 아침 풍경 그리고 해돋이..

초보산꾼 사진 답사기 - 주월산(보성군) : 아침 풍경 그리고 해돋이.. 언제 : 임인壬寅년(22년) 견우달 07월 이틀(금요무박) 흙날 누구랑 : 다음수도권산악회 호남정맥 산우님들과 함께.. 어딜 : 봇재 ~ 주월산 ~ 무남이재 (호남정맥 산행 연계) 주월산 정상.. 주월산舟越山 옛날 득량만 바닷물이 홍수로 밀려올 때 '배가 이 산을 넘었다' 하여 주월산(舟越山)이라 했으며, 보성군의 겸백면 수남리와 조성면 대곡리 · 덕산리 · 봉능리 · 우천리에 걸쳐 있는 산이다(고도:557m). 『신증동국여지승람』(보성)에 "주월산(舟越山) 보성군의 동쪽 17리에 있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배가 넘어갔다고 하여 주월산이라고 부른다고 한다. 옛날 득량면 앞 바닷물이 홍수로 밀려 와 배가 이 산을 넘어 갔다고 구전한..

초보산꾼 서울근교 : 안산에서 인왕산 마루금 이어보기 사진 답사기

초보산꾼 서울근교 : 안산에서 인왕산 마루금 이어보기.. 언제 : 2022년 7월 09일 토요일 누구랑 : 풀잎님 동행.. 어딜 : 무악재 ~ 안산 ~ 무악재 ~ 인왕산 ~ 숙정문으로 하산 마침 더위도 있고 해서 멀리는 못가겠고 해서 계속 미뤄두었던 안산과 인왕산 마루금을 찾아본다. 안산은 지정된 등산로는 아니지만 마루금이 비교적 뚜렷이 남아 있어 찾을 수 있었지만 인왕산은 절벽과 군부대로 인해 최대한 접근해서 우회해 본다.. 06:38분 독립문역 5번 출구로 나와.. 안산의 유래.. 독립문역 역사안 5번 출구로 나오면서.. 서대문구 경계를 알리는 무악재에 오르고.. 06:47분 무악재 하늘다리 앞 입구에서 안산으로 마루금 산행이 시작되고.. 무악재를 넘으면 좌측에 무악재 표지석이 있다.. 06:50분 ..

호남정맥 15 - 용두산 구간 : 서해와 긴 인연을 마치고 남해로 들어가는 문턱에서 힘겨웠던 통행세..

호남정맥 15 - 용두산 구간 : 곰치에서 시목치까지.. 언제 : 임인壬寅년(22년) 견우달 07월 이틀(금요무박) 흙날 누구랑 : 다음수도권산악회 호남정맥 산우님들과 함께.. 어딜 : 곰치 ~ 땅끝기맥분기봉 ~ 가지산 ~ 병무산 ~ 용두산 ~ 만년고개 ~ 시목치 더 많은 사진자료는 https://blog.daum.net/kmhcshh/5810 하지가 지나고 소서가 다가오니 어김없이 다가온 장마.. 틈새에 염치없이 찾아오는 잠 못 이루는 열대야.. 소서(小暑)가 쏘아 올린 작은 공.. 7월로 들어서며 계속 이어지게 될 초복에서 말복으로 이어지는 더위 먹는 3종 세트가 밀려오고 한해의 절반인 6월을 지나 7월 시작점에 떠나는 호정길도 이제 더위와 싸움이 일상임을 알려주겠지만 자연에 순응하며 3종 세트에 몸..

호남정맥 14 - 봉미산 구간 : '드들'처녀의 유래가 담긴 '드들강' 지석천을 한눈에 담다..

호남정맥 14 - 봉미산 구간 : 예재에서 곰치까지.. 언제 : 임인壬寅년(22년) 누리달 06월 열여드레(금요무박) 흙날 누구랑 : 다음수도권산악회 호남정맥 산우님들과 함께.. 어딜 : 예재 ~ 봉화산 ~ 고비산 ~ 큰덕골재 ~ 군치산 ~ 봉미산 ~ 곰치 더 많은 사진자료는 https://blog.daum.net/kmhcshh/5794 하늘의 뜻에 따라 농사를 짓던 시절에는 가뭄이 길어지면 기우제를 지내는 때를 하지로 잡았다고 한다. “하지가 지나면 오전에 심은 모와 오후에 심은 모가 다르다.”라는 속담 속에서 답을 찾은 선조들의 숨은 예지가 숨어 있다. 예상외로 길어지는 가뭄에 전국이 맘도 몸도 타들어 갔는데 아는지 모르는지 태평성대 나라만 그저 조용할 뿐.. 다행히 전국이 만족할 수준은 아닐지라도 ..

(한북북악용산분맥) : 용산龍山 78m (서울 용산구) - 우리만 몰랐던 용산이 여기에 있었구나..

(한북북악용산분맥) : 용산龍山 78m (서울 용산구) - 무악재에서 용머리까지(북진) 언제 : 임인壬寅년(22년) 누리달 06월 하루 물날(지방선거. 임시휴일) 누구랑 : 초보산꾼과 지인 어딜 : 용머리(청암대) ~ 용산(용산성당) ~ 효창원 ~ 만리재 ~ 아현 ~ 안산 ** 여기 소개하는 마루금은 초보산꾼 기준이며 참조만 하세요 ***** 뚜벅뚜벅 걸어서 서울시내 이곳저곳 걷고있는 중.. 선비들의 놀이터였다는 청계천에 합수되는 도성안 5대 계곡에 이어 11차에 걸친 남산주위 걷기도 끝나고.. 도성안 5대 계곡과는 또 다른 도성밖을 출발하여 한강으로 흘러드는 하천을 찾아가는 길.. 첫 여정으로 만초천 걷기를 마치고 이제 만초천의 분수령 중 하나인 용산 산줄기를 걷는다.. 현재 또 다른 축 용산의 탈을 ..

초보산꾼 서울근교 : 인왕산(무악동) - 국사당에서 무악재까지 사진 답사기

초보산꾼 서울근교 : 인왕산(무악동) - 국사당에서 무악재까지 사진 답사기 언제 : 임인壬寅년(22년) 잎새달 04월 서른날 흙날 누구랑 : 풀잎님과 금촌댁님 동행.. 어딜 : 독립문역 2번출구 ~ 무악동주민센터 ~ 국사당 ~ 인왕정 ~ 무악재 답사기록.. 다음지도.. 초보산꾼이 임의로 그린 등선.. 독립문역 2번 출구로 나와 준비를 하고.. 현위치에서 무악동 주민센터를 지나 선바위로 해서 무악재로 간다.. 오늘 마지막에 보게될 무악재 좌측으로 안산이 보이고.. 2번 출구로 나오면 약국 앞에서 주민센터로 간다.. 주민센터를 지나면서 길은 끊기고.. 주민센터 우측으로 해서 오르면 국사당으로 가는 등산로가 열린다.. 그럼 선바위 이정표가 보이기 시작하고.. 인왕산 인왕사 일주문을 통과하면.. 그럼 인왕사 안..

호남정맥 12 - 천운산 구간 : 인연과 인연이 만나 이룬 반쪽.. 남은 반쪽을 위한 단상..

호남정맥 12 - 천운산 구간 : 어림고개에서 돗재까지.. 언제 : 임인壬寅년(22년) 푸른달 05월 스무하루(금요무박) 흙날 누구랑 : 다음수도권산악회 호남정맥 산우님들과 함께.. 어딜 : 어림고개 ~ 오산 ~ 묘치고개 ~ 천왕산 ~ 서밧재 ~ 천운산 ~ 돗재 더 많은 사진자료는 https://blog.daum.net/kmhcshh/5754 산줄기를 따라 걷다 보면 시계추의 힘을 빌려 돌고 도는 시계의 바늘이 알려주는 세상 같다는 생각을 해본다. 시계추 같은 튼튼한 다리를 핑계로 봉우리 하나 힘들게 정상에 서면 또 다른 봉우리가 새로운 인연을 만들려 기다리고 있고 높은 만큼 좀 힘들게 내려간다 싶으면 또 다른 인연인 고개가 있어 잠시 숨돌릴 새도 없이 또다시 오름은 시작되고 그렇게 시계 바늘이 만들어 ..

호남정맥 16 - 제암산 구간 : 철쭉이 남긴 미소만큼이나 긴~ 여운.. “내 소리 받아가라!” ..

호남정맥 16 - 제암산 구간 : 시목치에서 봇재까지.. 언제 : 임인壬寅년(22년) 푸른달 05월 이레 (금요무박) 흙날 누구랑 : 다음수도권산악회 호남정맥 산우님들과 함께.. 어딜 : 시목치 ~ 제암산 ~ 사자산미봉 ~ 일림산 ~ 한치고개 ~ 봇재 (북진 진행) 더 많은 사진자료는 https://blog.daum.net/kmhcshh/5751 백방산과 서마제 뒤 500봉 사이로 한의 소리 서편제가 태동한 서마리 하마 마을이 있다. 호남정맥 고당산 구간에서.. 남원 운봉에서 곡성으로 이어지는 송홍록, 송만갑으로 대표되는 섬진강 동쪽으로 발달한 동편제에 대비해서 주로 섬진강 서쪽인 호남정맥을 중심으로 익산에서 나주 목포까지 발달한 한의 소리 하면 떠오르는 서편제.. 특히 한국영화의 새로운 경지를 개척했다..

초보산꾼 사진 답사기 - 무등산 3대 주상절리 : 입석대. 서석대. 규봉(광석대) 호남정맥 연계..

초보산꾼 사진 답사기 - 무등산 3대 주상절리 : 입석대. 서석대. 규봉(광석대) 언제 : 임인壬寅년(22년) 잎새달 04월 열엿새 (금요무박) 흙날 누구랑 : 다음수도권산악회 호남정맥 산우님들과 함께.. 어딜 : 유둔재 ~ 백남정재 ~ 북봉 ~ 무등산 ~ 장불재 ~ 안양산 ~ 둔병재 ~ 어림고개 무등산 답사기는 https://blog.daum.net/kmhcshh/5735 무등산 북산의 신선대 신선대에서 본 무등산 북봉과 정상 신선대 억새평전 무등산 둘레길에서 신선대 답사는 끝나고.. 무등산 중봉 능선에서 올라오다 보면 만나는 서석대 여맥 시작점 무등산 정상 역할을 하고 있는 서석대 정상 서석대 정상 승천암 지나 입석대가 시작되고.. 장불재를 배경으로 서석대와 입석대.. 당겨본 서석대 낙타봉으로 가면서..

호남정맥 11 - 무등산 구간 : 無等과 母岳이 안아준 호남정맥 품속.. 같은 듯 다른 가르침으로 다가오고..

호남정맥 11 - 무등산 구간 : 유둔재에서 어림고개까지.. 언제 : 임인壬寅년(22년) 잎새달 04월 열엿새 (금요무박) 흙날 누구랑 : 다음수도권산악회 호남정맥 산우님들과 함께.. 어딜 : 유둔재 ~ 백남정재 ~ 북봉 ~ 무등산 ~ 장불재 ~ 안양산 ~ 둔병재 ~ 어림고개 더 많은 사진자료는 https://blog.daum.net/kmhcshh/5734 등급이 없는 무등無等 세상속으로 들어가며.. 無等은 『반야심경』에서 부처가 절대평등의 깨달음, 곧 ‘무등등(無等等)’을 말한 대목에서 유래한다고 한다. 불교와 인연이 있는 말로 종교적 의미에서 무등은 차별이 없는 절대 선(善)의 경지를 의미한다. 이는 곳 평등을 의미하고 사회학적으로 빈부나 귀천, 차등이 없는 상태가 평등이다고 볼 때 근현대사에서 광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