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해안 기행 세 번째. 영광 홍농읍 월곶을 지나 고창 부안으로 가는 길
목포에서 신의주까지 서해안을 걷는다. 세 번 째
-영광 홍농읍 월곶을 지나 고창 부안으로 가는 길-
무르익은 봄날 우리 땅 걷기의 서해안 기행 세 번째가 영광군 홍농읍 월곶에서 시작되어 가마미 해수욕장을 지나 흑아도를 거쳐 고창에 이릅니다.
전북 고창군 상하면을 지나 선운산 자락에 있는 해리, 심원을 지나면 동호 해수욕장에 이르고, 부안을 거쳐 부안군 줄포면에 이르는 길을 걸을 예정입니다.
역사 속에 이름을 남긴 전봉준, 차천자라고 불렸던 차경석, 그리고 인촌 김성수, 수당 김연수와 미당 서정주의 이야기들이 남아 있는 고창에서 북으로 펼쳐진 곰소만을 건너면 변산반도 국립공원의 자태가 눈부시도록 아름답게 펼쳐지는 곳이 이 지역입니다.
“방장산 자락에 있는 고창의 옛 이름은 모량부리현(毛良夫里縣)이었다. 신라 때 지금의 이름을 얻은 고창군은 1914년에 무장현과 흥덕현을 병합하여 오늘에 이르렀다. 조선 초기의 문신이었던 정이오(鄭以吾)의 기문에 “고창은 본래 시내와 산의 좋은 경치가 있다고 일컬어 왔으며, 토지 또한 기름지고 넓어서 오곡이 잘 된다”고 써 있는데, 고창군에는 방장산․문수산․태청산․소요산․선운산 등이 펼쳐져 있고, 문수산에서부터 발원한 인천강과 주진강이 흐르고 있다.
선운산이 있는 고장
?신증동국여지승람? ‘산천’조에 “반등산은 현의 동쪽 5리에 있는 진산이다. 신라 말기에 도적이 크게 일어나, 이 산에 웅거하여 양가의 자녀가 많이 잡혀갔다. 그 가운데 장일현에서 잡혀온 아낙이 있었는데, 노래를 지어 그 지아비가 곧 와서 구해주지 않는 것을 풍자하였다. 곡명을 ‘방등산가’라고 일컫는데, 방등이라는 말이 바뀌어 반등이 되었다”라고 씌어 있는데, <방등산가>는 현재 전해지지 않는다.
그래서 그런지 이곳 고창에는 소리꾼이 많다. 진채선 신재효, 김소희 등이 그들이고 그래서 “고창 사는 사람치고 소리 한 마디 못하고 장단 못 맞추는 사람 없다.”는 속담이 만들어졌다.
조선시대의 학자이며 전라감사를 지냈던 이서구(李書九)가 지었다고 전해지는 <호남가>에 “고창성 높이 앉아 나주 풍경을 바라보니”라는 구절이 나오는데 그 고창성을 이 고장 사람들은 모양성(牟陽城)이라고 부른다. 해미읍성․낙안읍성과 더불어 원형이 가장 잘 보존되어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 모양성은 단종 1년(1453)에 세워졌다고도 하고 숙종 때에 이항(李杭)이 주민의 힘을 빌려 8년에 걸쳐 쌓았다고 하지만 확실하지는 않다. 성벽에 새겨진 글자 가운데 계유년에 쌓았다는 글자가 남아 있으며, ?동국여지승람?에 “둘레가 3008척 높이가 12척이고 성내에 세 개의 연못과 세 개의 하천이 있다”고 기록되어 있는데, 그것이 성종 17년에 발간되었기 때문에 그 전에 쌓았음을 알 수 있다.
고창성은 여자들의 성벽밟기로 유명한데, 성을 한 바퀴 돌면 다리의 병이 낫고 두 바퀴 돌면 무병장수하게 되며 세 바퀴 돌면 저승길을 환히 보며 극락에 갈 수 있다는 것이다. 윤삼월이 가장 효험이 좋고 초엿새, 열엿새, 스무엿새 등에 성벽 밟기를 하기 위해 도처에서 사람들이 몰려들었지만 지금은 가을에 열리는 고창 모양성 축제 때에나 볼 수 있다. 그러나 성의 높이가 만만치 않아 떨어지면 큰 불상사가 날 수도 있다. 실제로 오래 전에 ?산골소녀 옥진이?라는 시집을 펴냈던 김옥진씨는 고창여고 재학 중 성벽밟기를 하다 떨어져 반신불수가 되어 시인으로 다시 태어나게 된 것이다.
모양성에는 여름햇살만 남아
모양성 바로 입구에 지방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는 초가집 한 채가 있다. 그 집이 판소리 여섯 마당 중 <춘향가> <심청가> <흥보가> <적벽가> <변강쇠가> 등의 판소리 이론을 정립한 동리(桐里) 신재효(申在孝)의 집이다. <동리가>에서 “시내 위에 정자 짓고 정자 곁에 포도 시렁 포도 곁에 연못이라 ···” 했던 것처럼 그는 본래 광대 노릇을 한 사람이 아니었고 재산이 넉넉한 양반이었는데, 풍류를 즐기는 성품을 타고 나서 판소리와 함께 민속음악들은 연구하고 체계화시키는 데 일생을 바친 것이다. 신재효는 집안에 ‘노래청’을 만든 다음 수많은 명창들과 교류를 나누었고 김세종(金世宗)․정춘풍(鄭春風)․진채선(陳彩仙)․허금(許錦)과 같은 제자들을 길러냈는데, 신재효와 진채선 사이에는 애틋한 이야기가 한토막 전해진다.
고종 4년에 경복궁이 세워지자 경회루에서 축하잔치가 벌어졌다. 그 자리에서 진채선이 <방아타령>을 불러 이름을 날리게 되자 대원군은 진채선을 포함한 기생 두 명을 운현궁으로 데려가 ‘대령 기생’으로 묵어두었다. 갔다가 금세 돌아올 줄 알았던 진채선이 돌아오지 않자 외로움을 느낀 신재효는 그 외로움을 <도리화가(桃李花歌)>라는 노래로 엮어 진채선에게 보냈다. 그때 신재효의 나이는 쉰아홉, 진채선의 나이는 스물넷이었다. 진채선의 추천으로 대원군에게 오위장이라는 벼슬을 받은 그는 1876년에는 흉년이 들어 사람들을 도와준 공으로 통정대부(通政大夫)에 오르기도 하였다.
신재효는 판소리 여섯 마당의 사설뿐만이 아니라 <도리화가> <광대가> <오십가> <어부사> <방아타령> <괘씸한 양국놈가> 같은 풍부한 표현력으로 분명하고 완벽한 사설을 정리한 한국의 셰익스피어라는 칭송과 함께, 그가 정리한 판소리 사설이 지나치게 한문투로 만들어져 민중적이고 토속적인 판소리의 맛을 크게 줄였다는 비판을 받고 있기도 하다.
한편 고창읍 중림리와 도산리, 아산면 상갑리 일대에는 유네스코에 의해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고인돌 군이 있다.
북방식 고인돌 가운데에 가장 남쪽에 있는 도산리 고인돌은 민가 몸채 뒤에 홀로 서 있다. 불과 십여 년 전만 해도 대나무 숲으로 둘러싸인 장독대 한 켠에 또 다른 장식물처럼 서 있었는데, 장독대는 사라지고 잔디가 깔려서 왠지 모를 어색한 풍경으로 변해 버렸으니 쓸쓸함을 금할 수 없다. 그대로 두는 것이 아름다움이고 올바른 보존법인 것을 행정관료들이 언제쯤 알게 될까? 원래는 4면을 판석을 세워 막은 뒤 그 위에 뚜껑을 얹었을 것이지만 두 개의 막은 벽은 없어지고 2매의 판석 위에 뚜껑들이 얹힌 도산리 고인돌의 뚜껑돌의 길이는 3.5미터이고 폭은 3.1미터, 두께는 30~38센티미터쯤 되며, 밑을 받치고 서 있는 두 개의 받침돌은 높이가 1.8미터쯤 된다. “
나라 안에서 가장 살 만한 땅
?택리지?에 “그밖에도 두승산․상두산과 가까운 정읍시에 편입된 태인․고부와 바다에 가까운 부안․무장 등의 고을은 모두 나쁜 기운이 있다. 오직 부안의 변산 부근과 고창의 진산인 방장산과 선운산 등이 들어서 있는 지역은 토지도 비옥하고, 또 호수와 산의 경치가 좋으므로 그 중에서 나쁜 기운이 없는 샘을 고른다면 여기도 살 만할 것이다”라고 했는데, 고부의 진산으로 평지돌출의 산인 두승산에서 보이는 변산 기슭에 부안이 있다. 원래 이름은 부령현(扶寧縣)이었고, 백제 때 개화현(皆火縣)이었으며 조선 태종 때 지금의 이름으로 고쳤다.
신정일의 <새로 쓰는 택리지> 전라도 편에서
'사단법인 우리땅 걷기 > 신정일 대표님 자료 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봄날에 남산에 올라 (0) | 2014.05.06 |
---|---|
연백평야 너머로 보이던 개성의 송악산과 벽란도 (0) | 2014.05.06 |
북녘 땅이 한 눈에 보이는 섬, 강화 교동도 걷기. (0) | 2014.05.05 |
오월에 남도의 역사와 문화의 풍경 속을 걷는다. (0) | 2014.05.05 |
복사꽃 만발한 금강의 무릉도원으로 가는 길 (0) | 2014.05.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