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라 안에서 가장 아름다운 강 섬진강 530리 길을 걷는다. 두 번째.
나라 안에서 아름답기로 소문난 섬진강 530리 길 도보답사 중 가장 백미로 보석 같은 길이 펼쳐지는 아름답고 고적한 길을 두 번째로 걷습니다.
섬진강 댐 아래에서 시작되는 이번 여정은 회문산 자락을 지나고 김용택 시인의 연작시인 <섬진강>의 무대인 진메마을과 천담 구담을 지나 기암괴석이 강을 수놓은 장구목 부근을 지납니다.
동계면 구미리를 지난 강물은 평남리를 거쳐 적성강을 지나고, 남원 대강과 곡성을 지나 강과 산이 어우러진 섬진강 길을 지나 압록에 이릅니다.
“강진을 지나 옥정호의 끝 지점 섬진강 수력발전소가 바라다 보이는 회문산 자락에 도착한 시간이 열시 반 늦어도 너무 늦었다. 그러나 그 늦음만큼 산천은 너무 아름답고 얼지 않은 물을 빼놓고는 모든 것이 백설의 세계다.
섬진강을 건너던 희여테나루
박준열씨는 옥정호라는 것이 순창 읍내를 흐르는 물이 옥천이라서 옥자를 하나 넣고 정읍의 지명이 우물 정자이기 때문에 정자를 하나 넣어서 옥정호라고 이름지은 줄 알았다고 하는데 그게 너무 자의적인 해석이었다고 한마디하고 길은 천천히 녹고 있다. 산과 물이 맑다는 용산과 물골이라는 이름이 붙은 수동의 이름을 따서 용수리라고 이름 지은 용수리의 섬진강 바위 위에는 흰 눈이 쌓여있다. 시여테라고도 불리는 희여테에는 섬진강을 건너던 나루터가 있었다.
그러나 나루터는커녕 물은 조금 큰 또랑처럼 물이 흐르고 작은 앗터 동쪽에 있는 물섬바골 골짜기나 쇠점골 동쪽에 있는 배나뭇골은 흰 눈이 덮혀 있다.
그렇다. 이렇게 눈 내린 날에도 옛사람들은 무슨 큰 일이 생기면 눈덮힌 길을 걸어서 혹은 재를 넘어서 볼 일을 보러갔을 것이다. 희여터에서 순창군 구림면 안정리 냉골로 넘어가는 고개 이름이 냉골이었고 큰터 골 동쪽에 있는 골짜기는 질꾼 너머 하고 불렸었다.
작업용 차량들은 쌩쌩 거리며 지나가면서 녹은 눈 세례를 퍼붓고 강진 6km 임실24km 덕치면 백운마을에서 강은 더없이 아름답다. 강물 위의 바위 위에는 흰 눈이 살포시 얹어저 있고 이 백운마을에서 갱정유도회가 시작되었다고 박준열씨가 귀띔을 한다.
“이 골짝 위에 사람이 많을 때에는 육 만여 명이 살았다고 해요 그렇게 많은 사람들이 모여드니까 탄압을 해서 일부는 변산으로 일부는 입암산으로 들어갔다고 해요”
갱정유도(更定儒道)는 1945년에 강대성(姜大成)에 의해 창도된 종교이다. 정식 명칭은 시운기화 유불선 동서학 합일 대도대명 다경대길 유도갱정 교화일심(時運氣和,儒佛仙,東西學,合一,大道大明,多慶大吉 儒道更定 " 敎化一心)이며, 줄여서 '갱정유도'(更定儒道)라고 한다.
이제는 거의 잊혀져간 우리의 전통을 고수하며 사는 사람들로, 청색 도포의 옛날 한복차림에 길게 땋은 댕기머리와 상투를 틀고 갓을 쓰고 수염을 길게 늘어뜨린 사람들이 갱정유도회 사람들이다.
지리산 청학동을 통해서 우리에게 더 많이 알려져 있는 그들은 우리나라 민족자생의 도인 갱정유도를 신봉하는 사람들이다. 이 갱정유도는 바로 이곳 산내들 마을 뒤편 회문산자락 승강산 금강암에서 강대성이 처음 창시하였다고 한다.
갱정유도의 도리는 유ㆍ불ㆍ선에 근거하고 동ㆍ서학을 합하여 그를 다시 유도로 구세한다는 기본 골격을 갖고 있다. 경전으로〈부응경 符應經〉이 있는데, 이는 강대성이 쓴 영서(靈書)와 논설(論說)을 모아 기록한 것이다.
갱정유도에는 3대 천지대제와 24절후 치성 의식이 있다. 3대 대제일(大祭日)은 음력 4월 8일의 지제(地祭), 8월 16일의 영신당주님 선화일(迎新堂主任仙化日), 10월 8일의 천제(天祭)가 있는데, 천제와 지제를 합쳐 '천지대제'(天地大祭)라고 부른다. 또 도인들은 매일 새벽 4시에 일어나 영선도인법(仙導引法)을 행한 뒤 두발(頭髮)을 손질한다.
강대성이 사망 한 지 3년 뒤인 1957ㄴ녀에 김갑조金甲祖가 제 2대교주로 법통을 이었고, 그 때 본부를 전라북도 남원시 도통리로 옮겼으며, 그들이 결국 지리산 청학동으로 들어가 오늘날처럼 변해버렸고 그도 저도 못한 일부는 장수 천천면으로 또는 다른 곳으로 가서 새로운 출발을 준비하고 있으니 우리가 염원하는 우리가 그리는 청학동은 과연 있기는 한 것인가. 멀리 보이는 강진교 위로 장동 마을의 소나무 숲은 갈대밭 너머로 평안하다. 그렇다. 산세가 아름답기 때문에 「동국여지승람」의 ‘산천‘조에 “여러 산이 줄지어 있고, 물 한 줄기 둘러 흐른다.” 고 하였고, “산과 산이 첩첩이 둘러쌓여 있어 병풍을 두른 것처럼 아름다운 곳이다”라고 표현 된 임실은 “살 제 남원 죽어 임실”이라는 말도 있다.
조선시대 이곳 임실을 찾았던 신숙주申叔舟는 객관에서 다음과 같은 시를 남겼다. “말을 타고 유유히 가니 만리의 정(萬里情)이요. 저녁에 외로운 객관에 드니, 온 헌함이 맑구나. 뜰 앞에 작약芍藥은 붉은 것이 시들려는 듯, 담장 밖 멧부리는 푸르게 멀리 연하였네. 10묘의 볏모는 흐르는 물이 어둡고 몇 집 되는 마을에는 엷은 연기 일어나네. 객창客窓이 적막헌데 오직 달만이 밝고, 꿈을 깨니 뭇 개구리 한바탕 노래 소리로구나.”,
산중에 바위로 된 천연의 문이 있어 회문(回門)이라고도 부르는 회문산(回門山)은 반석 같은 웅장한 바위들이 4km에 걸쳐 뻗어있고 높고 우뚝 솟은 봉우리는 항상 구름에 잠겨있다. 순창, 임실, 정읍 등 삼개 군에 걸쳐있는 이 산은 풍수지리설에 의하면 다섯 선인이 바둑을 두는 모양의 오선 위기에 명혈이라는 명당을 비롯한 명당자리가 많기로 소문이나 풍수 객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오선위기의 명당자리는 발견되지 않고 수수께끼로 남아있다. 강증산 선생의 말을 해석하여 사대 강국이 우리나라를 에워싸고 있다가 다 물러가는 형국이라고도 한다. 또한 옛날 이곳에는 백룡이라는 산적두목이 무리들을 거느리고 이곳에 웅거했다고 전해지는데 산봉우리에 그들이 살았다는 것이 남아있고 장군봉 일대에는 크고 작은 묘소들이 여기저기 쓰여 져 있다. 회문산(837m)은 북쪽으로 투구봉이 있고 남쪽 능선에는 태조 이성계가 나라를 건국하기 위해 만일 기도를 올렸다는 만일사가 있다. 그럴 수도 있을 것이다. 옛말에 “논두렁 정기라도 받고 태어나야 면장이라도 한다.”고 했으니, 이산은 그 후로도 동학농민혁명이 실패로 돌아간 후 동학교도들이 은신처로 삼기도 했으며 한국전쟁 당시에는 남부군 전북도당 사령부가 있었던 역사의 현장이 회문산이기도 하다. 6월 25일 한국전쟁이 발발한 뒤 낙강간 전선까지 승승장구하던 북한군이 낙동강 전선이 무너지면서 갈 길을 잃고 헤매게 되었다.
내가 처음 이곳을 찾았을 때가 86년 이 때쯤이었을 것이다. 황토현문화연구소가 제 이름을 달기 전 시인과의 만남을 준비했는데 첫 번째 초대 손님이 김용택시인이었다.
순창 가는 버스를 타고 와서 덕치국민학교에서 만난 김용택 시인은 순수 그 자체였다. 그런 인연으로 우리들은 형님 동생하는 사이가 되었고 92년이던가 섬진강을 따라가는 답사 길에 이 마을에서 하룻밤을 묵었었다. 용택이 형님네 작은 집에서 지금은 전남대학교에 자리를 잡은 소리꾼 전인삼 명창을 초대 흥보가 박타는 장면을 들으며 배꼽이 빠지게 웃다보니 나중에는 웃을 힘이 없었던 그 때가 아물아물 떠오른다. 뒤에도 얼마나 여러 번 이곳을 찾아왔던가. 가을이면 용택이 형님이 감을 따러 오라고 해서 식구들은 다 데리고 감을 몇 포대씩 따가기도 했고 좀 늦으면 이른 저녁까지 먹고 갔던 그 기억들이 내 발길을 가로막고 있다. 그러나 십 육년의 세월이 흐른 지금 이 마을도 다른 마을과 별로 다를 게 없다. 마을에 들어서자마자 낯선 사람들이라 선지 집집마다 개장에 갇힌 개들이 열을 내며 짓고 있으니...
용택이 형님은 학교에 계실 것이라 짐작했지만 어머님마저도 마실을 가셨는지 보이지 않고 지붕 위에 내린 눈이 녹아 흐르는 낙수 물소리만 요란했다
다시 용택이 형님네 집에 갔을 때는 두 주일이 지난 3월 24일 섬진강의 마무리 답사 길이었다. 안 계시리라 믿었었는데 집안에 들어서자마자 문을 열고 용택이 형님이 나오는 게 아닌가.
토요일이라 전주에 갈 일이 있었지만 신문에서 우리 답사가 있다는 것을 보았기 때문에 우리를 보기 위해 집에 왔다고 하는 게 아닌가.
섬진강을 따라가며 보라
강 건너 앞산에 용택이 형님네 감나무는 아직 을씨년스럽게 헐벗었지만 돌로 만든 징검다리는 옛날이나 다름없다. 그래 원래 저 다리는 저 모습이 아니었다. 수십 년 수백 년을 두고 아무리 큰 홍수가 나도 떠내려가지 않고 제자리를 지키고 있던 돌다리가 사라진 것은 용택이 형님이 몸이 아파서 병원에 있던 시절이었다. 병원에 있는 동안 마을 사람들이 시멘트 다리를 만들며 그 돌다리를 없애버린 것이다. 병원에서 나온 용택이 형님의 아쉬움을 무어라고 표현하랴. 그 뒤 마을사람들이 다시 만든 징검다리는 옛 모습은 아니지만 그런대로 옛 정취를 일깨워 준다고 할까 군산대 김덕수 선생의 말대로 저 징검다리 밑에다 나무다리 즉 섭다리를 만들어 놓고 용택이 다리라고 부르는 것도 괜찮을 성싶다고 생각하며 용택이 형님이 30여 년 전에 심었다는 느티나무에 앉아서 강의에 귀를 기울인다.
“여그가 동네 사람들이 삼을 삶던 곳이 예요. 삼을 째서 벗기던 이곳을 다른 동네 사람들이 지나갈 때는 담배도 안 피워야 하고 술 먹고 가다가는 얻어맞기가 일쑤였어요 나그네가 지나갈 때는 느티나무를 돌아가야 했어요...
저 강가가 얼마나 고기가 많던지 고기 반 물 반 했어요 우리 어머니가 “용택아 다슬기 잡아 가지고 올텡개, 불 때고 있어라”하고 나간 뒤 불 때고 있으면 금방 가서 한바가지 잡아가지고 오는디, 바가지만 가지고 가서 손으로 이렇게 더듬으면 한 주먹 되고 이렇게 하면 또 한 주먹 되고 그래서 금방 한바가지를 잡아 가지고 왔어요....
도시의 나무들은 전봇대 때문에 나무들이 잘 크지를 못하잖아요 고기들도 잠을 자고 나무들도 잡을 자거든요 풀도 밤에는 잠을 자는데 도시의 배미들은 새벽에도 잠을 자지 않고 우는디 그게 정상이 아니에요. 그래서 예전엔 밤고기를 많이 잡았어요.
멍쳉이라고 부르는 고기가 있는디 얼마나 멍창한가. 손바닥보다 큰 고기가 두손으로 잡을 때까지는 가만히 있다가 밖으로 나온 담에야 부르르 몸을 떨었거든요.
“고기 잡는 방법이 많이도 있어,요 그중 재미있는 것이 큰 메로 바위를 때리면 고기들이 기절해서 쑥쑥 나오거든요 그래서 진메마을 앞에 상처 없는 바위가 없다라는 말이 생겨난거예요” 말씀이 끝이 없지만 어쩌겠는가, 갈 길이 멀다.
이곳 내령內靈리는 본래 임실군 영계면의 지역으로 영계면에서 가장 안쪽이 되므로 안영계 또는 내령으로 불리기도 하지만 장군목, 장구목, 장군항, 물항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기산(345m)과 용골산 사이 산자락 밑에 위치한 이 마을에는 장군대좌형의 명당이었다고 하는데 그보다 더 중요한 것은 이곳 내룡마을 부근이 섬진강 중에서도 아름답기 이를 데 없는 곳이라는 것이다. 저마다 아름다움을 자랑하는 수많은 바위들이 강을 수놓은 가운데 바라보면 볼수록 기기묘묘한 바위가 요강바위이다. 큰 마을 사람들이 저녁 내내 싸도 채워질 것 같지 않은 깊이를 알 수 없는 요강처럼 뻥 뚫린 이 바위를 한때 잃어버렸던 적이 있었다. 박준열부장이 남원 KBS에 근무하던 때였다니까 94년쯤이라고 한다. 어떤 사람이 이 마을에 와서 골재채취업자라고 한후 한참을 지냈다고 한다. 마을사람들과 친하게 지내면서 막걸리도 사주고 밤을 새워 이야기도 하면서 한 두어 달 지냈다든가 밤마다 포크레인으로 골재채취를 한다고 드르륵 드르륵 소리를 내는가 싶더니 어느 날 아침에 일어나보니 그 사람도 사라지고 요강바위도 사라져 버린 것이다. 발칵 뒤집힌 마을 사람들이 남원 KBS에 연락을 해서 전국방송으로 내보낸 뒤 마을 사람의 인상착의를 알려주어 몽타주를 만들어 보냈다. 그런 뒤 두어 달 지났을까 경기도 지역에서 신고가 들어온 것이다. 언젠가 방송에서 보았던 그 바위가 모모지역에 있더라 그래서 경찰들을 급파해보니 자기 집에는 두지 못하고 외딴 곳에 숨겨놓고 있었다고 한다. 그래서 그 사람은 붙잡혀 감옥에 가고 요강바위는 약간의 상처를 입은 뒤에 이 고향에 되돌아 올 수 있었다고 한다.
잃었다가 되찾은 요강바위
그래 수석이나 분재가 무슨 의미가 있던가, 시간을 내서 이렇게 조금만 도심에서 벗어나면 도처에 분재가 널려있고 수석들이 즐비한데 뭐 할라고 힘들여 갖다놓고 물주고 거름 주고 정성을 쏟고 한단 말인가. 그렇다고 그 분재나 수석이 고마워할까? 그들에게 영혼이 있다면 수천 수백 년을 더불어 살아온 이웃들을 떠나 좁은 방안에 갇혀있을 그 나무나 돌멩이들이 그 모심(?)당함을 행복해할까? 내가 내 가족이, 우리 집에, 라는 개인주의적인 입장에서 벗어나기만 하면 세상은 얼마나 자유스럽고 사랑스러워질까 그런데 이렇게 큰 요강바위를 어떻게 싣고 갔을까? 구미리가 고향인 양병완 선생의 말에 의하면 무량산에서 회문산으로 가는 루트가 이 요강바위 부근이었다고 한다. “요강바위에 빨갱이들이 다섯 명이 들어갔대요. 다 섯명이 들어간 뒤에 바위로 모자를 쓰고 있으면서 토벌대들이 지나가고 그래서 살아났대요
풍수 지리학자인 최창조 선생은 <한국의 자생풍수 2>에서 이곳 구미리를 김용규씨의 증언을 받아서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이 마을은 거북바위가 하나 놓여있는데 마을 사람들과 취암산 취암사 승려들 사이에 이 문제를 놓고 싸움을 벌이다 결국 승려들이 거북의 머리를 잘라 버리고 말았다. 그 거북이가 지금도 길가에 서 있다. 그 뒤 마을은 번창하고, 절은 폐사가 되고 말았다 한다. 금구몰리형의 자리에 아직 못 찾은 또 하나의 명당이 있다함(김용규)”
주산은 무량산無量山(56.4m). 덕유산에서 남서쪽으로 뻗어 온 산맥이 남원 교룡산蛟龍山을 지나 비홍재에서 적성강赤城江을 끼고 북으로 달려와 남향으로 앉았다. 무량산의 본래 이름은 구악산龜岳山, 즉 거북산이다. 지금 청룡靑龍이라 부르는 산 쪽이 주산에서 뻗어 내린 청룡이고 거북의 머리 부분에 해당된다. 백호는 청룡보다 짧지만 역시 주산에서 그대로 뻗어 내렸다.
거북이 남성을 상징하듯 안산은 옥녀봉, 그 형국은 옥녀탄금형玉女彈琴形 또는 옥녀직금형玉女織金形으로 묘가 있다. 옥녀봉 앞으로 동에서 서로 냇물이 흐르고 백호 쪽에서 흐르는 적성강은 서북쪽에서 남동쪽으로 흘러 내외수류역세內外水流逆勢가 된다.
섬진강 댐 아래에서 시작되어 진메, 동계, 적성, 대강 그리고 곡성에 이르는 구간, 섬진강의 백미를 걷게 될 섬진강의 여정에 많은 참석을 바랍니다.
'사단법인 우리땅 걷기 > 신정일 대표님 자료 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의 섬 기행,여수의 끝자락 거문도, 백도를 가다 (0) | 2016.03.03 |
---|---|
선운산을 넘어 선운사에 이르다. (0) | 2016.03.03 |
한 겨울에 남한강변의 폐 사지를 거닐다. (0) | 2016.03.03 |
양양의 휴휴암과 설악산 자락의 영랑호, 청초호를 걷는다 (0) | 2016.03.03 |
여수 향일암과 비렁길이 있는 여수 금오도를 겨울에 갑니다. (0) | 2016.03.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