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산 용장사지에서의 추억.
경주 남산, 가고 또 가도 가고 싶은 곳, 남산
그중에서도 나를 붙들고 놓아주지 않는 곳을 꼽으라 하면
나는 용장사지 일대를 꼽을 것이다.
하늘은 푸르고, 남산을 기단基壇으로 한 용장사지 탑은 하늘을 향해 솟구치고
그래 이 탑을 가슴 아리게 바라보았던 사람은 누구였을까?
조선의 아웃사이더인 매월당 김시습선생이지 않을까?
조선의 산천을 오래도록 답사한 매월당 김시습선생이었다.
김시습 선생이 가장 살만한 곳으로 여기고 사랑했던 곳은
아마도 경주의 금오산이었을 것이다.
《매월당집》 부록 제2권에 실린 <매월당시사유록후서梅月堂詩四遊錄後序>에 실린 그의 글을 보자
“금오에 살게 된 이후 멀리 노는 것을 좋아하지 아니하고, 다만 바닷가에서 한가로이 노닐며 들판과 마을을 말과 행동에 구애받음이 없이 자유로이 다니며 매화를 찾고 대밭을 찾아 언제나 시를 읊고 술에 취함으로써 스스로 즐거워하였다”
그는 금오산을 ‘흘러 다니다가 멎는 산’이라는 의미로 고산(故山)으로 삼고자 했음인지 여러 번 되풀이해서 ‘고산’이라고 썼다.
그는 태어나서 자란 서울을 객관(客官)이라 하였고, 서울에 있으면서 꾸는 꿈을 객몽(客夢)이라고 하였다. 그런 여러 가지 정황을 보아 김시습이 얼마나 경주의 금오산을 사랑했는지를 짐작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관서, 관동, 호남은 하나의 도로 여겨서 하나의 유록으로 만들면서 금오는 하나의 부인데도 하나의 유록으로 만들었다.
그의 호인 매월이라는 당 역시 금오산의 금오매월에서 따왔으며 그가 머물렀던 금오산실은 바로 용장사이며, 그 집의 당호가 바로 ‘매월당’이다.
이 금오산에서 서른한 살부터 서른일곱 살에 이르는 인생의 황금기를 보내면서 우리나라 최초의 한문소설로 불리는〈금오신화金鰲新話〉를 비롯한 수많은 시편들과〈유금어록遊金語錄〉을 남겼다. 집구시(集句詩)인〈산거백영山居百詠〉과〈전등신화剪燈新話〉를 본떠 지은〈금오신화〉도 이때(1468) 지은 작품이다.
그는 저술한 <금오신화>를 석실에다 감추고 말하기를 “후세에 반드시 나를 알 사람이 있을 것이다”고 하였는데 그의 말이 헛되지 않아 <금오신화>가 사람들에게 발견되어 김시습의 작품 중에 널리 알려진 작품에 속한다.
용장사지 아래 외롭게 용장사지를 굽어보는 두 개의 보물이 더 있다.
보물 913호로 지정되어 있는 용장사터 마애여래좌상과
보물 187호로 지정되어 있는 용장사터 석불좌상
나는 그 앞에만 서면 왜 그리 살아온 한 생애가 가엽고도 작아지는지,
신선암과 칠불암을 거쳐 황복사지와 진평왕릉에서 마감한 그 날 하루의 여정이
지금껏 가슴 속에 큰 울림으로 남아 있는 것은
내가 매월당 선생을 사모하고 사숙한 세월이
너무 오래라서 그런 게 아닐까?
지금도 문득 들리는 듯 하다.
터만 남은 용장사터에서 사각거리는 시누대 소리가,
계사년 섣달 초여드레.
'사단법인 우리땅 걷기 > 신정일 대표님 자료 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두승산으로 가기 전날 밤에 (0) | 2014.01.30 |
---|---|
한려수도의 절경 통영의 사량도와 수우도를 가다. (0) | 2014.01.29 |
서천 비인만의 마량리에서 해맞이를 하고 백제의 고도 부여를 걷는다. (0) | 2014.01.29 |
설악산 자락의 고을 속초와 고성의 바닷가 길을 걷는다. (0) | 2013.11.29 |
남해와 경주를 갑니다. (0) | 2013.1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