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나폴리라고 부르는 통영
통영에 간다. 그 ‘간다.‘는 사실만으로도 잠을 이루지 못하고 이리저리 뒤척일 때가 있다. 동피랑이나 서피랑에서 바라보는 통영항의 오밀조밀한 모습도 모습이지만, 미륵산 정상에서 내려다보는 한려수도의 풍경이나 장군봉에서 사량도 쪽으로 지는 노을을 바라보고 있으면 내가 세상 밖에서 살고 있는 것은 아닌지 하는 생각에 잠길 때가 있다.
그 통영을 세밀화처럼 자세하고도 아름답게 묘사한 글이 박경리 선생의 <김약국의 딸들>의 첫 부분이다.
“통영은 다도해 부근에 있는 조촐한 어항이다. 부산과 여수 사이를 내왕하는 항로의 중간 지점으로서 그 고장의 젊은이들은 조선의 나폴리라 한다.
그러니 만큼 바닷 빛은 맑고 푸르다. 남해안 일대에 있어서 남해도와 쌍벽인 거제도가 앞을 가로막고 있기 때문에 현해탄의 거센 파도가 우회하므로 항만은 잔잔하고 사철은 온난하여 매우 살기 좋은 곳이다. 통영주변에는 무수한 섬들이 위성처럼 산재하고 있다. 북쪽에 두루미목만큼 좁은 육로를 빼면 통영 역시 섬과 별다름 없이 사면이 바다이다. 대부분의 집들이 송이버섯처럼 들어앉은 지세는 빈약하다.
그래서 대부분의 주민들은 자연 어업에, 혹은 어업과 관련된 사업에 종사하고 있었다. 일면 통영은 해산물의 집산지이기도 했다.
통영 근처에서 포획하는 해산물이 그 수에 있어 많기도 하거니와 고래로 그 맛이 각별하다 하여 외지 시장에서도 비싸게 호가되고 있으니, 일찍부터 항구는 번영하였고, 주민들의 기질도 진취적이며 모험심이 강하였다.
이와ㅐ 같은 형편은 조상 전래의 문벌과 토지를 가진 지주층들(대개는 하동 사천 등지에 땅을 갖고 있었다) 보다 어장을 경영하여 천금을 잡은 어장아비들의 진출이 활발하였고, 어느 정도 원시적이기는 하나 자본주의가 일찍부터 형성되었다. 그 결과 투기적인 일확천금의 꿈이 황행하여 경제적인 지배계급은 부단한 변동을 보였다. 실로 바다는 그곳 사람들의 미지의 보고이며, 흥망성쇠의 근원이기도 하였다, 전해지는 말에 의하면 타관의 영락한 양반들이 이 고장을 찾을 때 통영 어구에 있는 죽림고개에서 갓을 벗어 나무에다 걸어놓고 들어온다고 한다.
그것은 통영에 와서 양반 행세를 해봤자 별 실속이 없다는 비유에서 온 말일 게다. 어쨌든 다른 산골 지방보다 봉건제도가 일찍 무너지고 활동의 자유, 배금사상이 보급된 것만은 사실이다.
어업 규모가 작지만 특수한 수공업도 이곳의 오랜 전통의 하나다. 근래에 와서는 두메산골로 들어가도 좀처럼 갓 쓴 사람은 볼 수 없게 되었지만, 이조 왕실이 쓰러지기 전까지 최상품의 갓이라면 으레 통영갓이었고, 그 유명한 통영갓은 제주 도의 말총으로 만들어졌던 것이다. 지금도 흔히 여염집에 들르는 뜨내기 소반장수가 싸구려 소반을 통영소반이라 사칭하고 거래라는 풍경이 있는데, 통영 소반은 그 세공이 정묘하여 매우 값진 상품이었다. 이밖에도 소라 껍데기로 만든 나전 기물이 이름 높다. 원료를 바다에서 채집하는 관계 상 그랬는지는 알 수 없으나 진주 빛보다 미려하고 표질이 조밀한 소라 껍데기를 갖가지의 의장意匠으로 목재에 박아서 만든 장롱, 교자상, 경대, 문갑, 자(尺)에 이르기까지 화려 찬란한 가구제작이 일찍부터 발달되었다. 대부분의 남자들이 바다에 나가서 생선 배나 찔러 먹고 사는 이 고장의 조야하고 거친 풍토 속에서 그처럼 섬세하고 탐미적인 수공업이 발달하였다는 것은 좀 이상한 일이다. 바다 빛이 고운 탓이었는지도 모른다. 노오란 유자가 무르익고 타는 듯 붉은 동백꽃이 피는 청명한 기후 탓이었는지도 모른다.“
박경리의 장편소설 <김약국의 딸들>의 머리글에 실린 통영의 모습이다.
지금은 윤이상과 유치환, 그리고 아름다운 항구의 이미지 때문에 사람들이 줄지어 찾는 통영, 그 속에 김약국의 딸들은커녕 약국의 그림자도 없는 것이 통영이다.
통영항에서 소설의 마지막을 소리 내어 읊조린다.
“배는 서서히 부두에서 밀려나갔다. 배 허리에서 하얀 물이 쏟아졌다. ‘부우웅’ 윤선은 출항을 고한다. 멀어져 가는 얼굴들, 가스등, 고함 소리, 통영 항구에 장막은 천천히 내려진다. 갑판 난간에 달맞이꽃처럼 하양 용혜의 얼굴이 있고, 물기 찬 공기 속에 용빈의 소리 없는 통곡이 있었다. 봄이 멀지 않았는데, 바람은 살을 에일 듯 차다.”
을미년 사월 초엿새
'사단법인 우리땅 걷기 > 신정일 대표님 자료 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월 신록의 계절에 변산 마실길을 걷는다. (0) | 2015.06.25 |
---|---|
2015년 석가 탄신일에 떠나는 삼사기행, 문경 봉암사, 포항 오어사, 속리한 법주사 (0) | 2015.06.25 |
지리산 정령치에서 바래봉 일대를 걷다 (0) | 2015.06.25 |
목포에서 신의주까지 서해안을 걷는다. 열 두 번 째 -안산 시화호에서 김포시 월곶리까지 (0) | 2015.06.25 |
통영의 칠현산에서 세상의 아름다움을 보다. (0) | 2015.06.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