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단법인 우리땅 걷기 /신정일 대표님 글 모음13

어떻게 사는 것이 행복한 삶인가?

산중산담 2017. 4. 10. 13:36

 

어떻게 사는 것이 행복한 삶인가?

 

 

조금만 여유를 가지고 살면 될 것인데,

세상에는 그 여유를 누리고 사는 법을 모르는 사람들이 너무나 많다.

그만하면 될 것을 채워도, 채워도 모자라는 그 욕심 때문에

대책도 필요 없는 상황에 빠지는 사람들을 보면

마음 비우고 한가하게 자신의 삶을 잘 살다간 옛 사람들이 문득 그립다.

중종 때 사람인 사재思齋 김정국金正國은 기묘사화로 쫓겨나

경기도 고양에 있는 망동리에 은휴정恩休亭이란 정자를 짓고

후학들을 가르치고 책을 읽으며 소일했다.

은휴란 말 그대로 임금님 덕분에 쉰다는 뜻을 담겨 있는데,

그는 불행조차도 행복으로 여기며 호를 팔여八餘로 바꾸고 살았다.

가까운 친구가 그에게 왜 팔여라는 호를 지었는가 묻자

다음과 같이 답했다.

토란국과 보리밥을 배불리 먹고,

부들자리와 따뜻한 온돌에서 넉넉하게 자고,

땅에서 솟는 맑은 샘물을 넉넉하게 마시고,

서가에 가득한 책을 넉넉하게 보고,

봄날에는 꽃을 가을에는 달빛을 넉넉하게 감상하고,

새들의 지저귐과 솔바람소리를 넉넉하게 듣고,

눈 속에 핀 매화와 서리 맞은 국화에서는 넉넉하게 향기를 맡는다네.

이 일 곱 가지를 넉넉하게 즐기기에 팔여八餘라고 부르네,“

김정국이 친구에게 말한 넉넉하다는 것은

하나같이 자연 속에서 구할 수 있는 것이며,

사람들과 다툼을 통해서 얻는 것은 어느 한 가지도 없었다.

자연 속에서 자연스레 누리며 살아 갈 수 있는 그 여덟 가지에 대한

뜻을 지닌 호의 의미를 전해들은 친구는

김정국과는 전혀 다르게 살고 있는 사람의 이야기를 들려주었다.

세상에는 자네와 반대로 사는 사람이 있더군,

진수성찬을 배불리 먹고도 부족하고,

휘황한 난간에 비단 병풍을 치고 잠을 자면서도 부족하고,

이름난 술을 실컷 마시고도 부족하다네.

울긋불긋한 그림을 실컷 보고도 부족하고,

아리따운 기생과 실컷 놀고도 부족하고,

좋은 음악을 다 듣고도 부족하고,

희귀한 향기를 맡고도 부족하다 여기지.

한 가지 더 이 일곱 가지 부족한 것이 있다고 그 보족함을 걱정하더군,

내 자네를 따라서 여덟 가지를 넉넉하게 즐기는 사람이 되기를 바랄 뿐,

속물을 따라서 부족함을 걱정하는 사람이 되고 싶지<!--[if !supportEmptyParas]--> <!--[endif]-->

어떻게 사는 것이 잘 사는 것인지

살아갈수록 모르는 것이 이 세상에서의 삶이다.

살다가 보니 내 삶을 내가 잘 살고자 해서 잘 사는 것도 아니고,

모든 것이 날 때부터 죽는 순간까지

운명 지워진 그대로의 삶을 살고 있는 것이라는 것을

날이 갈수록 새록새록 느끼면서 작은 일에 자족하고

한가하게 살아야겠다는 생각, 그 것 뿐이다.

‘“내 밭이 넓지는 않아도 배 하나 채우기에 넉넉하고,

내 집이 좁고 누추해도 몸 하나는 언제나 편안하네.

밝은 창에 아침 햇살 오르면 베개에 기대어 옛 책을 읽고,

술이 있어 스스로 따라 마시니 영고성쇠는 나와는 무관하네.

무료할 거라곤 생각하지 말게, 진정한 즐거움은 한가한 삶에 있나니,“

김정국의 시를 읽다가 보면, 인생사 사는 것이

참으로 별 것 아닌데 , 왜 그렇게 어렵게 살고 있는지 하는 생각,

지금보다도 더 한가하게, 한가하게 살아갈 수는 없을까?

 

20161223일 금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