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가능한 꿈을 꾸다가 꿈속에서 생을 마감하자.
<!--[if !supportEmptyParas]--> <!--[endif]-->
몇 년 전 일이다.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에서 강의 요청이 온 것이다. 부여에서 개최하는 전국 행사에 주제발표를 해달라는 것이었다.
부여에 도착 한 뒤 티타임에서 여러 사람을 만났다. 그 중에 한 사람이 뽀로로’를 만든 최성일씨였다. 그는 부분 발제를 하기 위해 왔던 것이다.
전국 각 지역에서 온 300여명의 청중 앞에서 강연을 시작하기 전에, 강연장 맨 앞줄에 앉은 진흥원장에게 물었다.
“원장님! 2×2가 얼마지요?”
“예, 4입니다.”
“최성일 선생님은 2×2가 얼마지요?”
“예, 저도 4라고 알고 있습니다.”
내가 듣고자 했던 답이 아니었다. 나는 마음속으로 새로운 문화를 총괄적으로 지휘하는 한국문화 콘텐츠진흥원장이고, 뽀로로라는 히트상품을 만든 창조자이기 때문에 그와는 다른 대답이 나올 줄 알았던 것이다.
“과연 그럴까요?”
하면서 나는 김수영 시인이 쓴 <산문, 불온성不穩性에 대한 비과학적인 억측>의 한 구절을 들려주었다.
“”모든 살아 있는 문화는 본질적으로 불온한 것이다. 그것은 두말할 것도 없이 문화의 본질이 꿈을 추구하는 것이고, 불가능을 추구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김수영 시인은 불온성이야말로 예술과 문화의 원동력이 되는 것이고, 인류의 문화사와 예술사가 바로 이 불온의 수난의 역사 속에서 이루어졌다고 본 것이다.
김수영 시인의 산문만이 아니라 도스토예프스키의 <지하 생활자의 수기>에도 그와 비슷한 글이 실려 있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하나님, 자연 법칙이나 산술법칙이 내게 무슨 중요성이 있단 말입니까? 무슨 이유에서건 자연의 법칙들이나 둘 곱하기 둘은 넷이라는 산술 법칙을 나는 인정할 수가 없습니다. 물론 나는 이 벽을 내 이마로 깨부수지는 못합니다.
그렇지만 나는 이 벽이 단단한 돌 벽이라고 해서, 그리고 내게 그 벽을 깨부술 없다고 해서 결코 포기하지는 않겠습니다.
(...)모든 일들이 도표들과 수학에 따라 진행되고 2×2는 4라는 것만이 주위에 있을 때, 인간 자신의 의지라는 것은 대체 어떤 종류의 의지가 되겠습니까? 그런데 세상에서는 내 의지와 관계없이 2×2는 4라고 하고 나 자신의 의지는 이와 같은 것이 될 것입니다.! (...)
둘 곱하기 둘은 넷 이런 공식은 더 이상 삶이 아니다. 차라리 이것은 죽음의 시작입니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나는 두 사람의 예를 들고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소설의 주인공이 말했던 것처럼 수학에서 2×2가 4만 되는 것이 아니고, 6도 되고 8도 되고, 아니면 백도 되고, 천도 될 수 있는데 꼭 4만 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왜 우리는 의심하지 않는 것일까요. 삶 그 자체가 무한한 가능성인데, 그 가능성을 한정짓고 살아가는 상황에서 어떤 새로운 창조물이 만들어 질 수 있을까요?
새로운 문화 창조는 지금의 것에 만족하지 않고, 어딘가에 있을 그 무엇, 어쩌면 있는지 없는지 조차 모르는 그 ‘무엇’ 에 대해 ‘물음표‘ 즉 의문을 제기하는 것에서부터 비롯되는 것이 아닐까요?
“창조란 불행한 것들 사이로 자신의 길을 금 그어 나간다.” 프랑스 철학자인 들뢰즈의 말입니다. 창조한다는 것은 어쩌면 가서는 돌아오지 못할, 죽을지도 모르는 그런 낯선 곳이나 위험 속으로 들어갔을 때, 그 실체를 만날 수 있는 것이 아닐까요? 그래서 나는 항상 불온함을 꿈꾸고, 그런 꿈을 꾸는 사람들을 좋아합니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내 말이 끝나자 최성일씨가 나에게 큰 소리로 말했다.“
앞으로는 절대 4라고 말하지 않겠습니다.”
그렇다. 문화의 본질은 불온不穩한 것이다. ‘종은 상전보다 높지 못하다는 말이나 제자는 스승보다 높지 못하다는 말은 달리 말하면 과학의 진보나 우리가 흔히 말하는 청출어람靑出於藍을 부정하는 것이나 다름없는 것이다.
현실에 안주하지 않고, 새로운 것을 향해서 움직여야 새로운 문화를 만들어 낼 수 있다는 말이다.
이제 새로운 꿈을 꾸는 것보다 벌린 일들을 잘 수습해야 할 것이라는 것을 잘 안다. 하지만 나는 살아 있는 날까까지 그 꿈이 불가능하다고 할지라도 꿈을 꿀 것이고, 꿈을 꾸다가 꿈속에서 생을 마감하리라 마음먹는다.
“항상 꿈을 꾸게나, 꿈은 공짜라네.“
<!--[if !supportEmptyParas]--> <!--[endif]-->
2017년 5월 21일 월요일
'사단법인 우리땅 걷기 > 신정일 대표님 글 모음14'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욕심이 많을 수록 자유는 없다. (0) | 2017.07.24 |
---|---|
삶의 중대성은 예기치 않게 오고 금세 지나가는 것, (0) | 2017.07.24 |
역사에 부끄럽지 않은 사람, (0) | 2017.07.24 |
사람의 재주가 서로 큰 차이가 있는가. 없는가? (0) | 2017.07.24 |
이 세상에서 편안하게 쉴 시간은 없다 (0) | 2017.07.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