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제할 수 없는 것과 통제할 수 있는 것? 통제할 수 없는 것과 통제할 수 있는 것? 어제 푸르던 나뭇잎이 오늘 다시 보면 붉은 빛으로 물들어 거리에 구르다가 부스러져 돌아가듯 변하고 변하는 것이 세상의 이치다. 그나마 급변하는 세상 속에서 말 그대로 자기에게 주어진 역할을 하고 사는 것이 어찌 그리도 힘이 드는지, 그럭.. 사단법인 우리땅 걷기 /신정일 대표님 글 모음13 2017.04.10
그런 길도 있고, 저런 길도 있다. 그런 길도 있고, 저런 길도 있다. 세상에 일어나지 않을 일이란 없다. 일어날 일이기 때문에 일어나는 것이다. 그런데 사람들은 소 잃고 외양간 고치는 것이 아니라 일어난 그 일을 탓하기에만 바쁘다. 개인이건, 나라건, 지나간 역사 속에 그런 일이 있었고, 그 역사 속에서 그 일은 반복.. 사단법인 우리땅 걷기 /신정일 대표님 글 모음13 2017.04.10
편지란 가장 아름답고 가장 가까운 삶의 숨결이라는데, 편지란 가장 아름답고 가장 가까운 삶의 숨결이라는데, 편지지에 한자 한자 정성들여 편지를 써서 봉투에 집어넣고 우체국에 가서 우표를 사가지고 마지막 편지를 보낸 적이 언제였던가? 기억조차 희미하다. 마지막 편지에 대한 기억이 희미하니 누구에게 보냈는지는 더욱 아리송하고, .. 사단법인 우리땅 걷기 /신정일 대표님 글 모음13 2017.04.10
사랑 때문에 왔다가 사랑 때문에 살다가는 이 세상. 사랑 때문에 왔다가 사랑 때문에 살다가는 이 세상. 인간에 대한 사랑 때문에 왔다가 인간에 대한 사랑 때문에 생을 마감하고 사람들 가슴에 영원한 사랑으로 남아 있는 사람이 있다. 지구의 스승 예수 그리스도가 탄생한 날, 아침이다. 12월 25일, 성탄절, 예수가 사람에 대한 사랑과 더 나.. 사단법인 우리땅 걷기 /신정일 대표님 글 모음13 2017.04.10
모든 물음과 답변을 초월하는 것이 불이법문이다. 모든 물음과 답변을 초월하는 것이 불이법문이다. 답사 중에 가장 많이 들리는 곳이 절이다. 어떤 때 며칠간의 답사를 끝내고 돌아올 때 소감을 물으면 너무나 많은 사찰을 다녀와서 어느 절에 갔는지를 모르겠다는 말들을 들을 때가 있다. 그것은 불교가 이 나라에 들어온 지, 천 5백여 .. 사단법인 우리땅 걷기 /신정일 대표님 글 모음13 2017.04.10
어떻게 사는 것이 행복한 삶인가? 어떻게 사는 것이 행복한 삶인가? 조금만 여유를 가지고 살면 될 것인데, 세상에는 그 여유를 누리고 사는 법을 모르는 사람들이 너무나 많다. 그만하면 될 것을 채워도, 채워도 모자라는 그 욕심 때문에 대책도 필요 없는 상황에 빠지는 사람들을 보면 마음 비우고 한가하게 자신의 삶을 .. 사단법인 우리땅 걷기 /신정일 대표님 글 모음13 2017.04.10
이른 봄에 여수의 신비의 섬 사도와 하화도를 갑니다. 이른 봄에 여수의 신비의 섬 사도와 하화도를 갑니다. 2017년 이른 봄, 2월 초에 여수의 아름다운 섬 하화도와 지질공원으로 승격을 기다리고 있는 신비의 섬 사도를 갑니다. 하화도 그대이름을 '쉼'이라 불러 줄테다. 꽃이펴야 꽃섬인가요 꽃을 닮아 꽃섬이래요. 하화도는 꽃처럼 예뻐 붙.. 사단법인 우리땅 걷기 /신정일 대표님 자료 모음 2017.04.10
정의는 없고, 불의만 판을 치는 이 세상에서. 정의는 없고, 불의만 판을 치는 이 세상에서. TV나 신문을 보아도 사람들과 만나도 들리는 소문은 최 모라는 여자와 대통령으로 재직했다가 탄핵당한 어떤 여자의 이야기뿐이다. 정의는 없고, 불의만 판을 치는 나라, 이게 무슨 나라인가? 자괴감만 해일처럼 밀려오고, 또 오는 이 나라, 언.. 사단법인 우리땅 걷기 /신정일 대표님 글 모음13 2017.04.10
아직 삶도 제대로 모르는데, 죽음을 어찌 알리. 아직 삶도 제대로 모르는데, 죽음을 어찌 알리. 지난 가을 석양녘에 찾아갔던 고령의 지산동 고분군을 다시 찾아갔다. 고령읍 뒤편 산에 봉긋 봉긋 줄 지어 늘어선 무덤 들, 대 가야 왕들의 무덤이 무려 7백 몇 십 개, 말하자면 왕들의 공동묘지인 무덤을 오르기도 하고, 탑돌이처럼 돌기도.. 사단법인 우리땅 걷기 /신정일 대표님 글 모음13 2017.04.10
서두르고 서두르는 나의 삶, 서두르고 서두르는 나의 삶, ‘이게 아닌데,‘ 하면서도 정해진 일에 따른다. 새벽에 떠났다가 늦은 밤에 돌아와 잠시 눈을 부치고 일어나 다시 서둘러 떠남을 준비하는, ‘이게 아닌데,’ 이것에 어디 한두 번 일인가? 좀 더 차분하게, 천천히 일어나는 일이 필요한데, 또 이렇게 서둘러 .. 사단법인 우리땅 걷기 /신정일 대표님 글 모음13 2017.04.10